형설지공/경제경영
2002. 4. 5.
[법경제학노트]불법행위이론 (Tort Law)
. 불법행위법에 관한 지적흐름의 개관 가. 불법행위법의 기원 불법행위(a tort)란 계약의 파기를 제외하고 민사소송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잘못된 행위를 말한다 (Landes and Posner, 1987). 예를 들어 화가 나서 사람을 때린다든지(battery, 폭행), 차를 부주의하게 몰아 보도로 침입한다든지(negligence, 과실), 허가 없이 타인의 토지에 들어간다든지(trepass, 침해), 남을 부당하게 비방하는 행위(defamation, 명예훼손) 등이 이에 해당된다. 18세기 중반이후 William Blackstone이 영국 보통법에 대한 저술을 시작할 무렵부터 근대 불법행위법의 주요 법리들은 이미 영국 보통법의 근간이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전통은 미국혁명 이후 미국 주 및 연방법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