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설지공/경제경영
2003. 10. 13.
[경제자료]다산경제학상 수상자
조기준 : 학자로서의 길에만 정진. 실학에서 단초를 찾을 수 있는 자생적 근대화의 열망이 과학기술과 조직적인 개역의지가 부족해 좌절된 것을 애석해함. 20년대 서민층의 기업활동을 해방 후 한국자본주의 발전의 기층으로 파악. 조순 : '중장기 경제개발전략에 관한 연구','금융발전의 조건과 한국금융의 과제','J M 케인스'등의 저작은 경제이론은 물론 역사와 철학에 걸쳐 균형감각을 유지한 수준 높은 논문으로 평가됨. 이론의 타당성만 과신한 나머지 현실적합성에 대한 검토를 소홀히하는 경향 경계, 역사와 사회제도에 대한 이해로 경제학이 보완돼야 한다고 강조. 김준보 : 한국 경제학의 초창기 시절 학문적 기틀이 잡히는 데 기여. '농업경제학서설','경제통계론','한국자본주의사연구','산업연관분석론','한국경제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