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설지공/경제경영
2002. 4. 5.
존재론적 맑스주의 정립을 위하여 2
2. 존재와 시간 김 기환 (1996.06) 우리는 1장을 통해서 철학적 문제설정에 있어서 존재-시간론이 갖는 중요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존재-시간론은 철학의 의의와 철학의 본질규정은 물론, 철학적 문제설정에서 가장 근본적인 존재의 실체를 밝히는데 있어서 핵심적인 쟁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철학사 전반에 걸쳐 이러한 쟁점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검토해 봄으로서 하이데거가 지적했던 존재-신론적 철학 극복의 대안이 어떻게 가능한지, 그러한 대안속에서 차지하는 존재실체로서의 인간본질은 무엇인지, 인간실천의 객관적 조건인 역사적 시간성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살펴 보도록 하자. 먼저, 철학사에 있어서의 존재-시간개념은 크게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의 존재시간론, 파르메니데스-스피노자로 이어지는 존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