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경제학상은 대체로 실용적인 가치보다는 공론에 치우친 무미건조한 학술적 개념을 정립한 학자에게 수여되기 마련이라는 통념이 1997년에는 들어맞지 않았다. 수상자인 미국의 로버트 C. 머턴(Robert C. Merton)과 캐나다 태생인 마이런 새뮤얼 숄스(Myron Samuel Scholes)는 자신들이 정립한 개념을 활용할 방도를 찾았을 뿐 아니라 그로부터 수익까지 얻었다. 이 두 사람은 주식 옵션(투자자 또는 매매업자에게 장래 확정된 시기에 자산을 사들이거나 팔 권리를 부여하는 취득계약) 및 다른 파생물의 가치를 측정하기 위한 기본적인 문제에 해답을 마련한 공로로 노벨 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했는데, 그 해답이 지난 20년 동안 세계 경제의 시장 성장에 중요한 원동력이 되어왔다. 그들은 확정리부증권(確定利附證券)과 그 파생상품을 주요 투자대상으로 삼는 60억 달러 상당의 회사인 롱텀캐피털매니지먼트사의 대표가 됨으로써 자신들의 견해에 따라 돈을 투자하기도 했다. 머턴은 그 회사의 공동설립자였다.
숄스가 경제학 분야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그의 이름이 들어 있는 공식 때문인데, 피셔 블랙과 공동으로 만든 블랙-숄스 옵션 평가공식이 그것으로, 블랙은 1995년 사망한 탓에 노벨상을 받을 수가 없었다. 노벨상은 사후에는 수여되지 않기 때문이다. 초기에는 출판업자를 찾는 데 약간 어려움을 겪었지만, 숄스와 블랙은 1973년 〈저널 오브 폴리티컬 이코노미 Journal of Political Economy〉지에 획기적인 공식을 발표할 수 있었다. 그 이전까지 사람들은 주식 옵션의 가치를 결정하는 데 곤란을 겪었다. 투자자들은 재정 손실을 예방하기 위한 위험부담금을 대략 추산할 수는 있었지만, 정확하게 예측할 수단은 없었다.
수학적으로 복잡하기는 했어도 블랙-숄스 공식은 비교적 간단한 일련의 변수 즉 현재의 주식가격, 미래의 옵션 계약부가격, 만기일, 완료일, 그리고 달리 선택할 수 있는 무결손 투자이율 등에 기초한 것이었다. 위험부담금이 이미 주식가격 속에 들어 있기 때문에 주식 옵션 투자에 반드시 따라야 하는 요소가 아니라는 것을 입증함으로써, 그 공식은 금융파생상품 시장 고유의 높은 위험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 공식의 의미는 옵션의 가격이 재무부 증권 같은 여타의 무결손 투자를 반영할 수 있도록 보험이나 연계매매 장치의 한 형태로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 공식을 응용한 결과 옵션 및 다른 파생상품의 거래가 투자자에게 더욱 매력적인 투자대상이 됨으로써, 얼마 지나지 않아 블랙-숄스 공식은 전 세계 매매업자들에게 주식 옵션 평가를 위한 주요 수단으로 채택되기에 이르렀다. 1970년대 중반이 되자 시카고증권옵션거래소의 매매업자들은 휴대용 계산기로 즉석에서 옵션 가치를 계산할 수 있게 되었다.
머턴은 블랙-숄스 공식에 의거해 자신의 수학 지식을 활용해 무배당 주식을 상정하는 등의 몇몇 제한이 완화될 수 있는 것임을 입증했다. 그는 공식에 변화를 주어 주택 저당이라든가 학생 대부 등 옵션 이외의 다른 경제적 문제들과 일반적인 위험관리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숄스는 1941년 1월 7일 캐나다 온타리오 주 티민스에서 태어나 온타리오 주 해밀턴에 있는 맥매스터대학교(1961년 문학사)를 다녔고, 시카고대학교(1964년 경영학 석사, 1970년 경영학 박사)에서 노벨상 수상자인 머턴 H. 밀러에게서 배웠다. 숄스는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 1968~73)과 시카고대학교(1973~ 83)에서 교편을 잡은 후 스탠퍼드대학교의 법학 및 재정학 교수가 되었다.
머턴은 1944년 7월 31일 미국 뉴욕시티에서 저명한 사회학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뉴욕 컬럼비아대학교(1966년 이학사)에서 공업수학을 전공하고 캘리포니아공과대학(1967년 이학석사)에서는 수학에, MIT(1970년 박사)에서는 경제학에 전념했다. 그는 1970년부터 MIT의 슬론경영대학원에서 교편을 잡다가 1988년 하버드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로 취임했다. 몇몇 경제 전문지와 상호기금회사의 이사이기도 한 머턴은 저서 〈시연속 재정학 Continuous-Time Finance〉(1990)을 비롯해서 기업재정에 관한 경제 논문들을 발표한 바 있다.
숄스가 경제학 분야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그의 이름이 들어 있는 공식 때문인데, 피셔 블랙과 공동으로 만든 블랙-숄스 옵션 평가공식이 그것으로, 블랙은 1995년 사망한 탓에 노벨상을 받을 수가 없었다. 노벨상은 사후에는 수여되지 않기 때문이다. 초기에는 출판업자를 찾는 데 약간 어려움을 겪었지만, 숄스와 블랙은 1973년 〈저널 오브 폴리티컬 이코노미 Journal of Political Economy〉지에 획기적인 공식을 발표할 수 있었다. 그 이전까지 사람들은 주식 옵션의 가치를 결정하는 데 곤란을 겪었다. 투자자들은 재정 손실을 예방하기 위한 위험부담금을 대략 추산할 수는 있었지만, 정확하게 예측할 수단은 없었다.
수학적으로 복잡하기는 했어도 블랙-숄스 공식은 비교적 간단한 일련의 변수 즉 현재의 주식가격, 미래의 옵션 계약부가격, 만기일, 완료일, 그리고 달리 선택할 수 있는 무결손 투자이율 등에 기초한 것이었다. 위험부담금이 이미 주식가격 속에 들어 있기 때문에 주식 옵션 투자에 반드시 따라야 하는 요소가 아니라는 것을 입증함으로써, 그 공식은 금융파생상품 시장 고유의 높은 위험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 공식의 의미는 옵션의 가격이 재무부 증권 같은 여타의 무결손 투자를 반영할 수 있도록 보험이나 연계매매 장치의 한 형태로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 공식을 응용한 결과 옵션 및 다른 파생상품의 거래가 투자자에게 더욱 매력적인 투자대상이 됨으로써, 얼마 지나지 않아 블랙-숄스 공식은 전 세계 매매업자들에게 주식 옵션 평가를 위한 주요 수단으로 채택되기에 이르렀다. 1970년대 중반이 되자 시카고증권옵션거래소의 매매업자들은 휴대용 계산기로 즉석에서 옵션 가치를 계산할 수 있게 되었다.
머턴은 블랙-숄스 공식에 의거해 자신의 수학 지식을 활용해 무배당 주식을 상정하는 등의 몇몇 제한이 완화될 수 있는 것임을 입증했다. 그는 공식에 변화를 주어 주택 저당이라든가 학생 대부 등 옵션 이외의 다른 경제적 문제들과 일반적인 위험관리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숄스는 1941년 1월 7일 캐나다 온타리오 주 티민스에서 태어나 온타리오 주 해밀턴에 있는 맥매스터대학교(1961년 문학사)를 다녔고, 시카고대학교(1964년 경영학 석사, 1970년 경영학 박사)에서 노벨상 수상자인 머턴 H. 밀러에게서 배웠다. 숄스는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 1968~73)과 시카고대학교(1973~ 83)에서 교편을 잡은 후 스탠퍼드대학교의 법학 및 재정학 교수가 되었다.
머턴은 1944년 7월 31일 미국 뉴욕시티에서 저명한 사회학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뉴욕 컬럼비아대학교(1966년 이학사)에서 공업수학을 전공하고 캘리포니아공과대학(1967년 이학석사)에서는 수학에, MIT(1970년 박사)에서는 경제학에 전념했다. 그는 1970년부터 MIT의 슬론경영대학원에서 교편을 잡다가 1988년 하버드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로 취임했다. 몇몇 경제 전문지와 상호기금회사의 이사이기도 한 머턴은 저서 〈시연속 재정학 Continuous-Time Finance〉(1990)을 비롯해서 기업재정에 관한 경제 논문들을 발표한 바 있다.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벨경제학상수상자]로버트 알렉산더 먼델 Robert Alexander Mundell (0) | 2003.04.01 |
---|---|
[노벨경제학상수상자]아마르티아 센 Amartya Sen (0) | 2003.04.01 |
[노벨경제학상수상자]윌리엄 비크리, 제임스 멀리스 (0) | 2003.04.01 |
[노벨경제학상수상자]로버트 에머슨 루커스 2세 Robert Emerson Lucas, Jr (0) | 2003.04.01 |
[노벨경제학상수상자]베커 Gary S. Becker (0) | 200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