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와 선물, 욥션
(1) 금융자산의 종류
0 화폐: 언제든지 거래에 사용될 수 있는 자산
- 통화: 국내통화, 외국통화
- 예금: 통화성 예금(자유저축 예금, 보통예금), 저축성 예금(적금, 정기예금), 외화예금
0 채권: 표면 금리 고정( 할인방식, coupon 방식 발행)
- 국채: 국채, 외화 표시국채
- 공채: 도로공채, 지방채, 주택채권, 담보부 채권
- 회사채: 외화표시 회사채, 주식담보부 채권
- CP: 진성어음, 융통어음
0 주식: 보통주, 우선주, 신형 우선주(채권성격)
0 파생상품
- 선물(futures): 주식선물, 원유선물, 금리
환율변동위험을 회피(hedge)하기 위한 전통적 거래기법으로 미래의 특정 일에 계약당시 각겨으로 매매하기로 약정하는 거래
* 선물거래와 선물시장
* 주택매입과 마늘 거래
- 옵션(option): 주어진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거래.이에 대한 premium 지급. 통화, 채권, 주식 등의 기초자산을 장래의 특정시점에 특정 실행가격(strike price)으로 거래할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계약임. 권리 행사를 하지 않으면 프레미엄 포기. call option(살수 있는 권리), put option(팔 수 있는 권리)가 있음.
- swap: 장기 외화차입에 따른 환율 및 금리 변동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개발된 금융기법으로서 이종통화의 원리금상환을 상호교환하기로 약정하는 통화스왑(Currency Swap)과 변동금리채무와 고정금리채무간의 금리지급조건을 상호 교환하기로 약정하는 이자율스왑(Interest Swap)으로 구분됨
0 혼성증권(hybrid securities): 채권시장, 주식시장, 외환시장, 상품시장 및 파생상품시장 등에서 거래되는 두 가지 이상의 증권(elemental securities : 채권, 주식, 외환, 상품 및 파생상품)을 결합하여 각 상품의 특성을 겸비하도록 만들어 낸 증권
- 수의상환채권(callable bond): 발행기업이 만기일 이전에 채권을 임의로 상환가능
- 전환채권(convertible bonds):주식으로의 전환 옵션
- 신주인수권부 채권(bonds with warrants): 신주인수 옵션이 있는 채권
- 상품/이자연계채권 : 표면이자를 상품가격에 연계
- 풋터블주식(puttable stock): 주가가 일정수준으로 하락할 경우에 더 많은 주식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
- 변동배당우선주(adjusted-rate preferred stock): 단기금리의 변동에 대응하여 배당률을 주기적으로 조정
(2) 위험회피와 투기
0 자산의 가격의 변화에 따른 위험을 줄이기 위한 행위을 hedging이라고 한다. 이것은 보통 위험한 자산과 부채를 동일하게 보유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자산보유상태를 sqare position 이라고 한다.
0 이에 비하여 위험한 자산의 보유가 부채보다 클 경우 long position 이라고 하며, 자산 가격의 상승이 이루어지면 이익을 보지만, 하락하면 손실을 초래한다. 위험한 자산보다 부채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경우 short position 이라고 하며, 자산의 가격이 하락하면 이익을 보지만, 상승하면 손실을 보게 된다. 이러한 투자를 투기(speculation)이라고 한다. 투기한 위험한 자산을 적극적으로 보유함으로써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를 말한다.
0 예를 들어 현금은 위험이 없는 금융자산이다. 며칠 후나 몇주 후의 현금가격에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물주식은 위험한 자산이다. 주식의 가격은 하루에도 끊임없이 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금을 가지고 주식을 매입하여 보유하고 있으면, long position이 된다. 이 때 주식 보유에 다른 위험을 줄이는 방법은 주식을 매도하는 것이지만, 다른 방법은 주식선물을 매도하는 방법이다. 주식선물의 매도는 미래에 주식을 상환해야 하므로 주식의 형태로 부채를 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주식보유액과 동일한 주식선물을 보유하고 있으면, 주식의 가격에 무관하게 자산의 가격은 일정하게 된다. 주식의 가격이 상승하면 현물보유 주식에서 수익이 발생하지만, 선물에서 손실을 입게 된다. 현물주식과 선물매도액이 동일하면, 이익도 손실도 없게 된다. 주식의 가격이 하락헤도 마찬가지이다. 현물주식에서 손실을 보지만, 선물에서 수익을 얻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비하여 주식을 보유하지 않고, 선물을 매도하면 주식으로 부채를 지고 있는 셈이므로 short position이 된다. short position 이나 long position은 모두 투기적 거래라 할 수 있다.
0 그런데 투자자들은 대부분 hedging을 하지만, 우리나라의 개인투자자들은 대부분 투기적 거래자라고 할 수 있다.
0 선물이나 option은 정해진 결제일에 청산이 이루어지므로 계약금만 있으면, 거래를 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일 이전에 position을 청상할 수 있기 때문에 계약금만 가지고, 그 이상의 몇 배의 거래를 할 수 있다. 이것은 부채를 통한 거래로 leverage라고 한다. 따라서 거래와 함께 3일만에 결제가 이루어지는 주식거래보다 자산 가격의 변화에 따른 수익의 변화가 크다.
(1) 금융자산의 종류
0 화폐: 언제든지 거래에 사용될 수 있는 자산
- 통화: 국내통화, 외국통화
- 예금: 통화성 예금(자유저축 예금, 보통예금), 저축성 예금(적금, 정기예금), 외화예금
0 채권: 표면 금리 고정( 할인방식, coupon 방식 발행)
- 국채: 국채, 외화 표시국채
- 공채: 도로공채, 지방채, 주택채권, 담보부 채권
- 회사채: 외화표시 회사채, 주식담보부 채권
- CP: 진성어음, 융통어음
0 주식: 보통주, 우선주, 신형 우선주(채권성격)
0 파생상품
- 선물(futures): 주식선물, 원유선물, 금리
환율변동위험을 회피(hedge)하기 위한 전통적 거래기법으로 미래의 특정 일에 계약당시 각겨으로 매매하기로 약정하는 거래
* 선물거래와 선물시장
* 주택매입과 마늘 거래
- 옵션(option): 주어진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거래.이에 대한 premium 지급. 통화, 채권, 주식 등의 기초자산을 장래의 특정시점에 특정 실행가격(strike price)으로 거래할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계약임. 권리 행사를 하지 않으면 프레미엄 포기. call option(살수 있는 권리), put option(팔 수 있는 권리)가 있음.
- swap: 장기 외화차입에 따른 환율 및 금리 변동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개발된 금융기법으로서 이종통화의 원리금상환을 상호교환하기로 약정하는 통화스왑(Currency Swap)과 변동금리채무와 고정금리채무간의 금리지급조건을 상호 교환하기로 약정하는 이자율스왑(Interest Swap)으로 구분됨
0 혼성증권(hybrid securities): 채권시장, 주식시장, 외환시장, 상품시장 및 파생상품시장 등에서 거래되는 두 가지 이상의 증권(elemental securities : 채권, 주식, 외환, 상품 및 파생상품)을 결합하여 각 상품의 특성을 겸비하도록 만들어 낸 증권
- 수의상환채권(callable bond): 발행기업이 만기일 이전에 채권을 임의로 상환가능
- 전환채권(convertible bonds):주식으로의 전환 옵션
- 신주인수권부 채권(bonds with warrants): 신주인수 옵션이 있는 채권
- 상품/이자연계채권 : 표면이자를 상품가격에 연계
- 풋터블주식(puttable stock): 주가가 일정수준으로 하락할 경우에 더 많은 주식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
- 변동배당우선주(adjusted-rate preferred stock): 단기금리의 변동에 대응하여 배당률을 주기적으로 조정
(2) 위험회피와 투기
0 자산의 가격의 변화에 따른 위험을 줄이기 위한 행위을 hedging이라고 한다. 이것은 보통 위험한 자산과 부채를 동일하게 보유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자산보유상태를 sqare position 이라고 한다.
0 이에 비하여 위험한 자산의 보유가 부채보다 클 경우 long position 이라고 하며, 자산 가격의 상승이 이루어지면 이익을 보지만, 하락하면 손실을 초래한다. 위험한 자산보다 부채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경우 short position 이라고 하며, 자산의 가격이 하락하면 이익을 보지만, 상승하면 손실을 보게 된다. 이러한 투자를 투기(speculation)이라고 한다. 투기한 위험한 자산을 적극적으로 보유함으로써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를 말한다.
0 예를 들어 현금은 위험이 없는 금융자산이다. 며칠 후나 몇주 후의 현금가격에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물주식은 위험한 자산이다. 주식의 가격은 하루에도 끊임없이 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금을 가지고 주식을 매입하여 보유하고 있으면, long position이 된다. 이 때 주식 보유에 다른 위험을 줄이는 방법은 주식을 매도하는 것이지만, 다른 방법은 주식선물을 매도하는 방법이다. 주식선물의 매도는 미래에 주식을 상환해야 하므로 주식의 형태로 부채를 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주식보유액과 동일한 주식선물을 보유하고 있으면, 주식의 가격에 무관하게 자산의 가격은 일정하게 된다. 주식의 가격이 상승하면 현물보유 주식에서 수익이 발생하지만, 선물에서 손실을 입게 된다. 현물주식과 선물매도액이 동일하면, 이익도 손실도 없게 된다. 주식의 가격이 하락헤도 마찬가지이다. 현물주식에서 손실을 보지만, 선물에서 수익을 얻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비하여 주식을 보유하지 않고, 선물을 매도하면 주식으로 부채를 지고 있는 셈이므로 short position이 된다. short position 이나 long position은 모두 투기적 거래라 할 수 있다.
0 그런데 투자자들은 대부분 hedging을 하지만, 우리나라의 개인투자자들은 대부분 투기적 거래자라고 할 수 있다.
0 선물이나 option은 정해진 결제일에 청산이 이루어지므로 계약금만 있으면, 거래를 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일 이전에 position을 청상할 수 있기 때문에 계약금만 가지고, 그 이상의 몇 배의 거래를 할 수 있다. 이것은 부채를 통한 거래로 leverage라고 한다. 따라서 거래와 함께 3일만에 결제가 이루어지는 주식거래보다 자산 가격의 변화에 따른 수익의 변화가 크다.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 금융과 외환위기 (0) | 2001.03.14 |
---|---|
한국의 대외거래, 비교우위와 시장개방 (0) | 2001.03.14 |
금융 제도의 변화와 경제 성장 (0) | 2001.03.14 |
은행과 관치금융 (0) | 2001.03.14 |
한국은행과 통화관리 (0) | 2001.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