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와 東아시아 主要國間 輸出의 競合 및 補完 關係*
━━━━━━━━━━━━━━━━━━━━━━━━━━━
< 요 약 >
1980년대 후반 이후 東아시아 지역의 공업화 진전으로 域內國間 交易이 크게
확대되어 각국의 총 수출중 역내시장의 비중이 1997년에는 48%에 이르렀다. 이
같은 역내교역 확대로 각국 경제의 相互依存性이 증대됨에 따라 지난해 일부
동남아국가의 外換危機로 초래된 경기침체가 여타국으로 확산되었으며 그 결과
대부분의 국가들이 생산위축과 수출부진에 직면하였다.
東아시아 역내국의 경제여건 변화가 우리나라 경제에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대외교역에 있어서 우리나라와 동아시아
주요국간 상호 의존관계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는 점을 감안하여 본고에서는
해외시장에서 이들 국가와의 수출의 競合關係와 우리나라 수출시장으로서 각국의
重要度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동아시아 각국은 역내교역 증대로 상호의존도가 높아진 동시에
輸出構造 高度化에 따라 해외시장에서 競合度도 점차 높아져 온 것으로 나타
났다. 먼저 우리나라와의 경합관계를 보면 일본, 대만 및 싱가포르의 경우 輸出
特化構造가 우리나라와 유사하여 거의 모든 주종 품목에서 경합관계에 있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수출특화구조가 상이한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의 경우에도
최근 사무용기기와 전기전자제품이 주력 수출상품으로 자리잡게 됨에 따라 이들
품목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와의 경합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이들
후발개도국의 산업고도화가 더욱 진전되면서 우리나라와 경쟁관계가 한층 강화될
것임에 비추어 기술개발을 통한 신제품 개발이나 수출상품의 高級化·差別化에
주력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우리나라 수출시장으로서 각국의 중요도를 비교해 보면 1990년대
들어 일본시장의 비중이 크게 낮아진 반면 중국과 홍콩이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다. 특히 중국과는 産業內貿易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
교역면에서 상호 보완관계가 강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양국간 수평 및 수직분업
체제를 강화하여 시장 영향력을 더욱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한편 대만과 태국의 경우 우리나라의 수출특화구조가 이들 나라의 수입구조와
대체로 일치하여 貿易補完度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실제 수출규모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이들 시장에의 진출을 확대해 나갈 여지가 많음을
시사하고 있다.
------------------------------------------------
Ⅰ. 머리말
Ⅱ. 우리나라와 東아시아 主要國의 域內交易 推移
Ⅲ. 海外市場에서 우리나라 輸出과의 競合關係
1. 貿易特化度
2. 輸出競合度
3. 市場占有率
4. 顯示比較優位指數
Ⅳ. 우리나라 輸出市場으로서 東아시아 各國의 重要度
1. 域內 各國에 대한 輸出比重
2. 産業內貿易指數
3. 貿易補完度
4. 輸出結合度
Ⅴ. 要約 및 示唆點
---------------------------------------------------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98.11]유럽통화동맹(EMU)의 출범과 유럽중앙은행의 통화정책 (0) | 2001.01.25 |
---|---|
[98.11]최근의 국제금융시스템 개편논의와 향후 전망 (0) | 2001.01.25 |
[98.10]부동산가격 하락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0) | 2001.01.25 |
[98.9]1985∼95년중 우리나라의 취업구조 변화 (0) | 2001.01.25 |
[98.9]월중 국내경제동향 (0) | 2001.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