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설지공/경제경영

[노벨경제학상수상자]헤크먼 James J. Heckman

헤크먼

James J. Heckman

1944. 4. 19 미국 일리노이 시카고~ .

미국 경제학자.

헤크먼은 미시적인 데이터에 대한 통계적 분석의 가능성을 현실화시킨 공로로 대니얼 L. 맥퍼든과 노벨 경제학상(2000)을 공동 수상했다.

개인에게 작업동기를 부여하는 요소는 무엇이며 개인의 작업시간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경제적 동기는 교육과 직업, 거주지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교육수준이 임금과 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이러한 개인 및 가계의 행동에 관한 미시적인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면 임금분석, 교통·통신체계 발전, 경제·사회정책 입안은 물론 경제학의 경계를 넘어 사회과학 전반에 두루 영향을 미칠 것이다. 헤크먼은 이러한 미시적인 데이터에 대한 통계적 분석의 가능성을 현실화시켜 미시계량경제학을 한 단계 발전시켰다. 경제학과 통계학의 접점에 자리한 미시계량경제학은 개인·가계·기업이 속해 있는 수많은 집단에 대한 경제학적 정보인 미시적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이다. 고성능 컴퓨터가 등장함에 따라 미시적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여지가 높아졌고 새롭게 제기되는 문제들에 대한 실증적 연구도 가능해졌다. 그러나 그의 연구가 갖는 중요성은 이러한 통계분석 기법을 노동경제학에 응용해 개인의 노동참여와 노동공급의 의사결정에 관한 선택이론 모형을 구축한 데 있다. 이것은 이를테면 1년간의 교육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 교육수준과 나이라는 조건이 주어졌을 경우 남자와 여자의 임금 차이 등의 까다로운 문제들을 분석해내는 데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로써 미시경제학과 사회과학이 풀지 못한 난제 가운데 하나인 개개인의 경제활동 방향과 경제적 영향을 분석해내기까지 일관된 그의 화두(話頭)는 분석도구와 실증의 결합이었다. 이를 통해 그는 세금이 노동공급과 자본축적에 미치는 영향, 공공직업훈련과 기업의 직업훈련이 임금과 고용에 미치는 영향, 개발도상국에서 노동조합주의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민권운동과 '사회적 약자 보호법'(Affirmative action)이 미국에 미친 영향 등을 분석하는 것으로 관심의 폭을 넓혀갔다. 정부가 국민의 노동 의욕을 고취하기 위해 감세정책을 수립할 때 취업자들의 임금만 고려할 것이 아니라 실직자들이 원하는 적정 임금수준을 먼저 파악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도 이와 같은 방법론에 바탕한 것이었다.

헤크먼은 1944년 미국 일리노이 주 시카고에서 태어났으며 1965년 콜로라도대학교를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했다. 학부 전공은 수학이었는데 이는 훗날 그가 복잡한 통계자료들을 분석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이후 프린스턴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학위(1968)와 박사학위(1971)를 받았으며 컬럼비아대학교 조교수(1970~73)·부교수(1973~74), 시카고대학교 경제학과 부교수(1973~77), 랜드사 자문역(1975~76)을 거쳐 시카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1977~) 및 사회정책평가센터 소장(1991~)으로 일하고 있으며 1990년에는 예일대학교에서 통계학을 강의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