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스는 1861년에서 1957년까지 영국의 명목 임금 상승률(화폐로 표시된 임금)과 실업에 관한 자료를 검토한 결과 인플레이션과 실업은 반비례 관계에 있음을 밝혀 냈다. 이러한 물가와 실업의 관계를 표시한 것을 필립스곡선(phillips curve)이라고 한다.
호황기에는 생산과 소비가 증가하면서 실업률이 감소하게 되는데 수요의 증가는 물가 인상을 유발한다. 또한 수출증가로 외화수입이 늘어나면 유입된 외화는 한국은행을 통해 원화로 교환되어 시중에 유통되기 때문에 통화량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와같이 호황기에는 실업률이 감소하고 소득이 증가하는 등 바람직한 면이 있지만 어쩔 수 없이 통화가 팽창되어 인플레이션을 일으키게 된다. 반대로 불황기에는 소비의 위축과 생산의 감소에 따라 실업률이 증가하는데 수출 부진까지 겹치게 되면 외화수입의 감소에 의해 통화량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불황기에는 경기침체와 실업증가라는 부작용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물가는 안정된다. 이를 통해 성장과 호황은 실업의 감소와 물가상승을 , 침체와 불황은 실업의 증가와 물가안정을 수반하므로 실업률과 물가 상승률은 반비례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에는 이러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률)과 실업률 사이의 안정적인 역의 관계는 무너지고 실업이 동시에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불황이면서 실업이 증가하고 소비가 감소 되였는 데도 불구하고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현상을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지금까지의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지만 대체로 호황기의 후유증으로 정의되고 있다. 즉 현대 복지국가에서는 최소한의 삶을 국가가 보장하므로 소득수준의 감소와 실업이 쉽게 나타나지 않고 경기가 불황이어도 기본생활수준은 유지될 수 있으며 실업보험과 직업 알선으로 실업문제가 이전과는 전혀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결국 복지국가에서의 경제문제는 물가와 실업, 성장과 안정 외에도 여러 가지 변수가 작용하여 이전보다 훨씬 해결하기 어렵게 되었다. 그러나 기본적인 해결방법은 국민이 합리적인 소비생활과 기술개발로 소비와 생산을 총체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다
호황기에는 생산과 소비가 증가하면서 실업률이 감소하게 되는데 수요의 증가는 물가 인상을 유발한다. 또한 수출증가로 외화수입이 늘어나면 유입된 외화는 한국은행을 통해 원화로 교환되어 시중에 유통되기 때문에 통화량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와같이 호황기에는 실업률이 감소하고 소득이 증가하는 등 바람직한 면이 있지만 어쩔 수 없이 통화가 팽창되어 인플레이션을 일으키게 된다. 반대로 불황기에는 소비의 위축과 생산의 감소에 따라 실업률이 증가하는데 수출 부진까지 겹치게 되면 외화수입의 감소에 의해 통화량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불황기에는 경기침체와 실업증가라는 부작용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물가는 안정된다. 이를 통해 성장과 호황은 실업의 감소와 물가상승을 , 침체와 불황은 실업의 증가와 물가안정을 수반하므로 실업률과 물가 상승률은 반비례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에는 이러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률)과 실업률 사이의 안정적인 역의 관계는 무너지고 실업이 동시에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불황이면서 실업이 증가하고 소비가 감소 되였는 데도 불구하고 물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현상을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지금까지의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지만 대체로 호황기의 후유증으로 정의되고 있다. 즉 현대 복지국가에서는 최소한의 삶을 국가가 보장하므로 소득수준의 감소와 실업이 쉽게 나타나지 않고 경기가 불황이어도 기본생활수준은 유지될 수 있으며 실업보험과 직업 알선으로 실업문제가 이전과는 전혀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결국 복지국가에서의 경제문제는 물가와 실업, 성장과 안정 외에도 여러 가지 변수가 작용하여 이전보다 훨씬 해결하기 어렵게 되었다. 그러나 기본적인 해결방법은 국민이 합리적인 소비생활과 기술개발로 소비와 생산을 총체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다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인]세실 피구 (Arthur Cecil Pigou, 1877~1959) (0) | 2001.01.27 |
---|---|
[경제인]존 베이츠 클라크 (John Bates Clark, 1847∼1938) (0) | 2001.01.27 |
우리가 지식재산권의 강국이 되려면 (0) | 2001.01.27 |
거품이 낀 우리의 지식재산권 실태 (0) | 2001.01.27 |
지식재산권을 세계 경영의 축으로 삼는 미국 (0) | 2001.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