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1원은 남한 돈 232원
남북한의 경제여건을 감안할 때 북한돈 1원은 한국 돈 215원 - 232원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달러를 기준으로 한 남북한 화폐 교환비율이 500:1을 넘는 것에 비해 커다란 격차가 나온 것이다.
한국은행 이원기 조사역은 14일 북한의 통화량에 기초해 남북한의 통화가치를 시산해 본 결과 북한 화폐 1원 당 남한 화폐가치는 현금통화를 기준으로 했을 때 232원, 퇴장화폐를 제외한 유통화폐만을 기준으로 했을 때 215원이 된다고 발표했다.
이 번 분석은 동구권의 시계열 자료를 통해 북한의 실제 통화량 규모를 간접 추정한 뒤 이를 토대로 다시 국가간 경제력에 기초한 적정통화량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 조사역은 동유럽 4개국의 자료를 통해 국가의 재정지출과 현금통화, 경상국민소득 등의 관계를 분석할 결과 북한의 1996년 기준 현금통화는 30억원을 조금 넘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 기간 중 한국의 현금통화는 15조4531억원이고 북한의 경상 GDP(국내총생산)는 남한의 4.5%수준이기 때문에 북한의 30억원은 남한 6945억원에 해당하는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북한 돈 1원은 남한돈 232원 정도라는 계산이 나온다.
남북한의 경제여건을 감안할 때 북한돈 1원은 한국 돈 215원 - 232원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달러를 기준으로 한 남북한 화폐 교환비율이 500:1을 넘는 것에 비해 커다란 격차가 나온 것이다.
한국은행 이원기 조사역은 14일 북한의 통화량에 기초해 남북한의 통화가치를 시산해 본 결과 북한 화폐 1원 당 남한 화폐가치는 현금통화를 기준으로 했을 때 232원, 퇴장화폐를 제외한 유통화폐만을 기준으로 했을 때 215원이 된다고 발표했다.
이 번 분석은 동구권의 시계열 자료를 통해 북한의 실제 통화량 규모를 간접 추정한 뒤 이를 토대로 다시 국가간 경제력에 기초한 적정통화량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 조사역은 동유럽 4개국의 자료를 통해 국가의 재정지출과 현금통화, 경상국민소득 등의 관계를 분석할 결과 북한의 1996년 기준 현금통화는 30억원을 조금 넘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 기간 중 한국의 현금통화는 15조4531억원이고 북한의 경상 GDP(국내총생산)는 남한의 4.5%수준이기 때문에 북한의 30억원은 남한 6945억원에 해당하는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북한 돈 1원은 남한돈 232원 정도라는 계산이 나온다.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수지를 균형시키는 적정환율의 추정방법 (0) | 2001.03.03 |
---|---|
환율의 적정성 평가 (0) | 2001.03.03 |
위안화 평가절하 대책 (0) | 2001.03.03 |
선물(Futures) 거래 ABC (0) | 2001.03.03 |
원화환율과 달러환율의 차이 (0) | 2001.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