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설지공/경제경영

GIS의 정의

GIS의 정의

GIS는 토지, 지리, 지질, 지형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그들 특성에 따
른 공간적 위치에 맞추어 자료를 입력, 저장, 분석, 처리하여 국토 및 지
역개발계획, 환경보존등 여러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종합 정보체
계를 말한다.

GIS에서 사용하는 자료는 크게 공간자료(Spatial data)와 속성자료
(Attribute data) 로 나눌 수 있다.
공간 자료는 지도에서 점, 선, 면등을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는 지
형, 지질, 수계망, 도로망등 각종 지표공간의 위치와 형상간의 공간적인
상대적 위치관계를 말한다.
속성자료는 이들 지료공간과 관련된 위치의 명칭, 크기 및 인문적 사
회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지형도의 공간자료는 지도사의 점들로
형성된 일련의 좌표연속이며, 지형구분, 마을 명칭 및 형태, 크기, 도로
등과 관련된 문자와 숫자로 된 것들은 속성자료이다.
즉, GIS는 컴퓨터기술을 이용하여 지리 및 지질정보의 효율적이고 신속
한 활용을 위하여 공간자료와 속성자료를 결합시켜 정보들을 입력, 분석,
출력시키는 정보관리체계이며, 계획을 수립하고 정책을 결정 하는 종합
적인 시스템이다.



◈ GIS의 필요성

일반적으로 도시, 환경, 토지, 자원에 관련된 행정업무에 있어서 GIS의
필요성은 행정환경의 변화에 대응한 능동적이며 과학적인 행정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는 본질적 목적에 부합되어야 한다.

현대의 토지, 자원, 환경의 다각적인 문제는 삶의 질에 대한 향상욕구와
기회의 균등분배 및 행정참여의 욕구증대로 문화, 도시화, 다원화의 현상
이 심화되는 점이다.
또한 이들 분야에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통계 담당 부서와 각 전문부서간의 업무연락 미약,
통계전담 부서 및 인원부족, 지역통계자료의 미약이고
·내용적 측면에서는 시간적/공간적 자료의 부족, 개념 및 기준의 불일
치로 신회도 저하, 자료의 세분화 미비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GIS와 같은 기법을 활용하여 정
확한 정보를 제공받아 사회복지시책의 발굴 및 추진과 함께 행정절차 내
용의 합리화와 사회, 경제 및 관리능력의 향상을 실현시켜야 된다. 따라
서 복잡하게 변화하는 제반문제의 해결을 GIS를 통해 실현하기 위해서
는 첫째­관련 정보의 구조적 특성분석,
둘째­관련 정보의 항목별 분류 및 정립,
셋째­관련 법규를 활용한 자료의 표준화,
넷째­정보시스템 자료기반 구축의 기본구상 등과 같은 과학적이
고 체계적인 구축방법이 면밀히 분석되어 추진되어야 한다.

한편, 사회 전분야에 걸친 효율적인 관리방안과 정책조정을 위하여 지
상, 항공 및 원격탐측과 GIS의 도입 및 활용이 절실히 요구됨에 따라 정
확한 자료의 지속적 모집, 수집된 자료의 전송 및 전산기 입력, 효율적인
자료저장 방법, 각종 자료의 처리기법, 적합한 지형공간정보 선정 및 개
발, 이미 개발된 지형 공간정보와의 연결 및 호환성, 고해상도의 결과를
출력하는 기법 등과 같은 사항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GIS가 우리나라에서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심도있는 전문교육의 실시를 통한 인력양성이 절실하며, 최고관리자로부
터 각 부서의 실무자까지 관련된 모든 사람들의 관심과 협력이 필요하다



◈ GIS의 핵심을 이루는 주요 분야

Ⅰ 측량학(Surveing) 및 측지학(Geodesy)

·측량학(Surveing)은 지구 및 우주공간에 존재하는 제점간의 상호위
치관계와 그 특성을 해석하는 학문으로서 측량학의 대상은 지표면은 물
론 지하, 수중, 해양, 공간 및 우주 등 인간 활동이 미칠 수 있는 모든
영역에 이르며, 그 범위 내에서 자연물, 인공물 등의 대상을 길이
(length), 각(angle), 시(time) 등의 요소에 의하여 정량화(quantfication)
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환경 및 자원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해석
한다. 측량학의 처리 순서는 대상물에 대한 조사(investigation), 관측
(observation), 정량화(quantification), 계획 및 설계(planning & design),
평가 및 유지관리(assessment & management)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
다.
최근 측량학은 측량기기의 발당과 항공기, 인공위성 등의 활용이 고도
화되고, 정보 처리의 전산화에 힘입어 토지현황 및 토지측량은 물론 토
지개발, 해양개발, 우주개발에 필수적인 학문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측량학은 관측, 해석활동의 기반이 되는 장소에 따라서 지표면측량, 지하
측량, 해양측량으로 나눌 수 있다.
아래의〈그림 1-1〉은 측량학의 한 예이다.
{{
}}
〈그림 1-1〉 광주시 Choroplath Map

·측지학(Geodesy)은 지구의 형상, 크기, 운동, 지구 내부의 특성 등을
해석하는 학문이다. 넓은 지구표면의 지형과 중력 변화를 헤아리는 측지
측량을 하기 위해서는 측지학의 지식을 필요로 하고 있다. 측지학은 지
구에 대한 특성을 해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며, 제반 대상물에 대한
정량화를 수행하는 측량과는 상호보완적인 관계이다.
측량학 및 측지학의 지식 없이는 좌표기준을 처리할 수 없을 뿐만 아니
라 자료기반 구축도 불가능하다. GIS의 구성에 있어서 자료기반구축 비
용은 전체 비용의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Ⅱ 사진측정학(Photogrammetry)

사진측정학은 전자기파에 의한 영상을 이용하여 대상물에 대하여 정성
및 정량적인 해석을 하는 학문이다.
photogrammetry는 라틴어로 photos(광, 전자기파, 사진), gramma(형상)
와 metron(관측, 측량)의 합성어로서 사진측량(photographic survery),
사진판독(photographic interpolation)과 원격탐측(remote sensing)으로
대별하여 연구개발되어 왔으며 광의 사진측량으로도 통칭되고 있다.

Ⅲ 원격탐측(Remote Sensing) 및 수치영상처리(Digital Image Pr-
ocessing)

{{
}} 원격탐측 및 수치영상처리는 지상,
항공기 및 인공위성 등으로부터 지
표, 지하, 대기권 및 우주공간의 대상
물에서 반사 또는 방사되는 전자기파
를 탐지하여 처리함으로써 현대산업
사회에 급증하고 있는 제반문제의 해
결에 필요한 자료 및 정보를 제공하
는데 매우 유용한 첨단 과학기술의
한 분야이다.


Ⅳ 지리학(Grography)

지리학은 세계와 인간의 터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지리학
은 공간분석에 있어서 중요하게 사용되며, 공간의 인식과 공간적 분석을
하기 위한 기법을 제공한다.

Ⅴ 지도제작(Cartography)

{{
}}지도제작은 공간적 정보
의 출력을 나타낸다. 현재
의 GIS에 대한 입력자료
의 주요 원천은 지도이며,
출력의 형태도 지형도의
형태가 주이다.
전산기 지도제작술은 수
치적 표현, 지도제작 특징
의 조정, 시각화 방법에
대한 기법을 제공한다.




Ⅵ 통계학(Statistics)

GIS를 사용하여 만든 많은 모형들은 통계학적이고, 많은 통계학적 기법
이 분석을 위해 사용되어진다. 통계학은 GIS 자료에서 오차와 불확실성
의 문제를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Ⅶ 공정관리(Operation Research)

GIS의 많은 응용은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최적기법의 사용을 요구한다.
이것은 특히 경영자들에게 의사결정의 도구로 사용되어, 의사결정에 많
은 도움을 준다.

Ⅷ 전산과학(Computer Science)

전산지원설계(CAD)는 특히 3차원에서 자료입력, 출력, 시각화, 재현을
위한 기법과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전산도형에서의 발전은 시각화의
기법, 도형 대상물의 출력과 취급을 위한 전산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자료기반 관리시스템(DBMS)는 수치형태, 시스템설계를 위한 절차와 자
료의 많은 양을 다루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는 지도의 특성을 일반화시키고 지도를 설계하는 것과 같은
기능에서 전문가로서 활동할 수 있는 의사결정 전산기와 인간의 지능을
모조하는 방법으로 전산기가 자료를 이용하기 위해서 선택을 할수 있게
한다.

Ⅸ 토목공학(Civil Engineering)

GIS는 사회기반시설을 관리하고 유지하는 데 많이 이용되며, 이를 위해
서는 토목공학과의 연결이 매우 중요하다. 토목공학에 의한 각종 자료들
은 GIS의 중요한 자료기반으로 활용되며, 또한 GIS의 분석결과가 토목
공학에 필수 자료로 이용되는 상호 보완작용을 하게 된다.

Ⅹ 물리학(Physics)

물리학은 전자공학, 원격탐측, 측지학 및 지리학의 기반이 되는 학문으
로서 위성을 통한 원격탐측의 기초이론을 제공한다. 더불어 양자역학, 천
체물리, 전산물리 및 수리물리 분야는 수치해석의 기반을 이룬다. 이는
곧 공간정보의 효율적인 표현으로 이어진다.



◈ GIS에 관련된 학술분야

GIS를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측량학 및 측지학, 사진측정학, 원격
탐측 및 수치영상처리, 지리학, 전산과학, 토목공학 등의 지형공간정를
다루는 학문에 대한 체계있고 깊이있는 교육 및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
며, 이를 바탕으로 각 부분간의 긴밀한 협조를 통한 통합적인 연구 및
사업의 시행이 이루어져야만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GIS와 관련된 중요 기법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을 수 있다.
(1) 도면자동화 (Automated Mapping; AM)
(2) 시설물관리 (Facilities Management; FM)
(3) 전산지원제도 (Computer-Aided Drafting; CAD)
(4) 전산지원제도 및 설계(Computer-Aided Drafting & Design;CADD)
(5) 전산지원지도제작 (Computer-Aided Mapping; CAM)
(6) 수치영상처리 (Digital Image Processing)
(7) 형태인식 (Pattern Recognition)
(8)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t; AI)
(9) 범세계 위치결정 시스템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10) 수치지형모형 (Digital Terrain Model; DTM)
(11) 자료기반 관리시스템 (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
(12) 지형처리 및 망해석 (Geoprocessing and Network Analysis)
(13) 다목적 지적 (Multipurpose Cadastre)



◈ GIS를 이용한 산업

Ⅰ 금융
금융계에서 사용자들은 은행, 신용회사, 보증중개인, 상인, 증권거래소,
그리고 기타 금융기관이다. 금융업에서의 GIS는 잠재된 고객인식, 은행
지점과 현금인출기의 위치, 그리고 대리점과의 서비스 설비의 배달계획
에 이용된다. 은행지점의 위치선정은 현재의 고객과 새로운 고객을 유치
하는데 무척 중요하다. 무인점포와 같이 현금인출기를 기반으로 하는 경
우에는 어떤 곳에 현금인출기를 두느냐에 따라서 고객 유치의 성공여부
가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가장 효과적인 장소에 현금인출기를 두어야
할 것이다. 즉, GIS는 가장 현실적인 면을 잘 반영한다고 할 수 있을 것
이다. 현금 인출기의 설치시 최적의 장소를 선택할수 있도록 의사결정의
기반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Ⅱ 보험
미국의 각종 보험회사들과 각종 보험을 대행하는 업체, 중개인, 그리고
서비스업체들은 GIS를 이용한다. 전형적인 GIS 응용분야는 유통을 공유
하는 고객과 시장, 즉 판매영역 계획과 회사, 중개인 대리점에 대한 조
사, 회사와 서비스 기구의 위치 설립, 그리고 재산보증보험이나 생명보험
에 대한 위험분류등이다. 재산과 생명보험에 있어서는 건강과 환경영향,
또는 응급실의 근접도와 같은 위험요소들의 지리적인 분포에 대한 지식
은 무척 중요하다. 보험회사는 집에 있는 동안에 발생한 절도 사건과 직
장으로 통근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사건을 비교하고자 한다. GIS를 통해
범죄 수준과 범행 장소에 관한 사용 가능한 정보는 판단과 처리에 중요
한 몫을 한다. 또한 위험정보는 우범지대에 위치한 집이나 쓰리기 처리
장 가까이에 있는 집의 경우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Ⅲ 건설
GIS는 계획, 경쟁업체 분석, 부지선정을 포함한 상업용 건축 계획과 부
지선정은 매번 구매자의 가족수, 부지의 경쟁성, 주변여건, 교통량, 대중
교통수단과의 근접성 등과 같은 수많은 요소들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
다. 구매자와 이웃의 생활방식조차도 고려요소가 되기도 한다. 상업용 건
축은 종종 쇼핑센터나 사무실대여를 통해 경쟁을 하기도 한다. GIS는 각
각의 관련된 요소들을 통합하고, 그중 서로 대치 관계에 있거나 조화를
이루는 것이 무엇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 분석을 통해 이런 계획과
부지 선정과정을 지원한다. 주거용 건축에 있어서는 도시화와 선정형태
를 고려하여야 한다. 무슨 용도의 건물인지, 그 지역에 적당한 가격은 얼
마인지, 학교는 어디에 있으며 장차 어느 곳에 세워질 것인지, 관공서는
어디인지, 이런 공공기관을 지탱하는 세금의 가산점과 면적은 얼마인지,
그 위치가 경제적인 면에서 얼마나 적합한지, 주변에 유해 요소나 범람
하는 평야, 또는 건축이나 보험요구 요소에 영향을 미칠 만한 특수한 환
경이 있는지... GIS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이해하기 쉬운 대답을 개발
하는 데 요구되는 정보의 수집에서부터 조직화, 분석능력을 제공한다.

Ⅳ 제조업
제조업 관련회사 중 GIS를 이용하는 회사는 미국의 코카콜라 회사 등
이 있다. 이들 회사는 공장건설 재산관리, 교통수단의 접근성, 물품도매,
분배 등을 지원하기 위해 GIS를 이용한다.

Ⅴ 부동산
부동산 산업은 건설개발회사, 소유자, 임대자, 월스트리트와 같은 은행,
보험회사, 상사, 개인으로 구성된다. 또한 중개업자, 건축가, 계획가, 회
사, 토목공학자, 회계사, 변호사, 그리고 부동산 중개업자와 같은 서비스
업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모든 요소를 고려할때, 미국 GNP의 26%이상
이 부동산업과 관련되어 있다. 부동산 투자는 GIS 응용의 기본이다. 부
동산 투자는 반드시 재산가치의 증감, 성장역사, 양식, 일반 제한 사항과
환경적인 제한사항, 수력, 가스, 전기와 공익사업 그리고 이러한 공익사
업에 접근하기 위한 비용등 모든 요소를 고려하여야만 한다.

Ⅵ 도소매
일반상품가게, 식품점, 자동차매장, 주유소, 의류가게, 가정용 가구점, 식
당과 간편식사(fast food)점포는 전형적인 도소매업이다. 그들의 기본적
인 응용분야에서는 경쟁업체 분석, 새로운 지점과 소매점의 위치 설정,
포괄적인 시장 분석, 직접 우편 판매, 판매고의 계획과 관리, 판매전망
그리고 시장 경향, 영향평가 등이 있다. 소매업자들은 "누가 내 제품을
사는가?"와 "어디서 고객을 찾아야 하는가?"를 알 필요가 있다. 재품과
서비스, 소비자들을 지도화함으로써, 새로운 위치, 수송, 그리고 가게에서
의 접근성과 같은 것을 고려하는 소비자 자료가 개발 된다. 일정 수입
수준의 가구의 위치와 수, 자녀의 수와 그 외의 구매특징은 판촉활동, 판
매관리, 시장추적에 영향을 미친다. 다른 응용분야는 재고통제를 위한 지
도화(Mapping)이다. 경영자의 위치에서는 GIS를 통해 제고통제상의 문
제를 신속히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어서 자본의 낭비와 판매기회의 상실
의 범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천 개나 되는 점포의 판매유형을
관측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언제 교정방책이 필요한 가를 결정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영자는 상품과 목표시장 내에 위치한 점포에서 소
비자요구를 짝지을 수 있다.

Ⅶ 수송과 배달
수송과 배달산업은 GIS를 이용하여 배달 경로계획, 분배 최적화와 평
가, 서비스 지역 팽창, 공항계획, 비상대책 등을 담당한다. 트럭, 버스, 택
시, 구조차량은 모든 수송시스템의 근간이 된다. 많은 회사들은 판매 분
배, 서비스로 이어지는 꽉 짜여진 시간표 내에서 "정시 도착"이라는 원
칙하에 움직인다. 제조, 생산 공정은 트럭이 정시에 도착하지 않으면 혼
란에 빠지게 된다. 적재 공정은 초과대기시간과 벌금이나 다른 경제적
벌칙을 무시하도록 충족되어야 한다. 게다가 이동 계획에 있어서도 GIS
는 요구사항을 할당하고 지리보다 시간이 더 주요한 곳을 이동을 연결시
킴으로써 차량사용계획을 지원한다. 신문 배달은 독자가 정시에 신문을
받아 볼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GIS를 이용하는, 시간 표에 따라 진행
되는 응용분야이다. 쓰레기 수거도 대상물이 배달되는 대신 수거된다는
것만 다를 뿐 비슷한 응용분야이다. 트럭의 위치결정과 운행지원은 운송
회사 경영자에게는 심각한 문제이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과
다른 차량추적 장치는 중앙집중통제에 의해 차량위치 결정과 통행률을
컨다란 비디오 스크린상의 노선도에 표시할 수 있다. 이동시간 계산과
경로 이동 정보는 쉽게 배달하는 업체에 의해 접근 가능하고, 각종 명령
은 운전자들로 하여금 도로 장애물을 피하도록 도와줌으로써 교통체증
지역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며, 즉시 수리담당 차량과 두급차량에 언제 어
디서 사고가 났는지 통보해 준다.

Ⅷ 공익사업
공익사업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크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공익사업체
는 가스, 전기, 교통시설, 그리고 상하수처리를 제공한다. 공공사업체는
오래전부터 AM/FM에 GIS가 응용 가능함을 알고 있었다. AM/FM은 공
학적 제도와 가스관, 전기선로, 상수관, 하수관, 철도 부지와 재산 소유권
그리고 식생정보를 위한 도며을 필요로 하는 각종 공사의 해결사ㅗ 널리
인식되어 있다. GIS의 응용은 AM/FM의 범주를 넘어 조직과 망을 팽창
시키는 계획까지 확대 가능하다. 성장세에 있는 공공사업체는 새로운 공
장 부지 계획이나 현재의 조직망 재구성에 GIS를 이용한다. 또한 회사들
은 그들의 고객이 어디에 쓰이는가, 그들이 필요한 게 무엇이며 그들 각
개인이 있는 위치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최상의 방법이 무엇인
가를 인식함으로써 고객에게 서비를 제공할 수 있다.

Ⅸ 통신
GIS는 통신, 광고, 그리고 원거리 통신, 케이블 TV, 라디오, 옥외광고,
신문발행, 잡지 발행과 같은 매체사업에 이용된다. 조직망의 확장, 소비
자 요구 예견, 시장분석, 위치 결정, 경로 선정, 그리고 분배 평가를 위해
원거리 통신과 케이블 TV회사는 GIS를 이용한다. 신문 발행인들은 경영
배분뿐 아니라 신문의 지방별 편집을 위한 시장의 특성을 결정하는 데도
GIS를 이용한다. 주간지는 특정지방 배달용으로 선태된 광고양식을 사용
하기 위해 GIS를 이용할 수 있다. 기술과 자료의 가격은 계속 낮아지고
있는 반면, 그 활용 가능성과 접근 가능성은 증가하고 있다. 지형공간자
료와 많은 형태의 응용분야에 대한 공간분석의 사용에 대한 관심이 고조
되고 있다. 따라서, 더 많은 회사들은 횟의 소유정보력을 전략적 경쟁이
익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GIS를 이용하게 될 것이다.




◈ GIS의 구조

GIS는 각종의 지리, 지형자료를 분산 배치하고 표준적인 좌표체계를 통
하여 하나의 완벽한 배열로 정이, 결합시키기 때문에 대상지역의 각종
자연 및 인문적 특성을 지리적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 낼 수 있으며, 자
료의 입력, 관리, 분석, 출력의 4가지의 주요단계로 구분된다.

1. 입력(수치화 ; Digitization)단계
지리, 지형자료의 수치화 작업은 기종의 도면자료와 그 속성자료를 컴퓨
터가 받아들일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을 수
치화시키는 일반적인 도구로는 디지타이저(Degitizer), 스케너(scanner),
비디오카메라(Vedio camera)등이 있으며, 그들이 가지는 고유한 속성은
키보드를 통해 입력시킬 수 있다.

2. 관리(data base)단계
자료관리 시스템(Dbms)은 GIS에서 가장 중요하며 자료의 저장, 처리,
분석등 전 과정의 효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리정보 데이터베
이스 시스템은 정보들의 기록체제를 말하며 이것은 모든 지리정보를 효
과적인 방식으로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적시에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되기 위하여는 우선 지표상의 각종
지리현상의 특성이 개념적 지리 자료모형 속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며,
지리정보 시스템, 구조속에 내포되도록 구체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러
한 특성들을 컴퓨터의 자료 속에 적당히 안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구조설계는 상당히 복잡하여 많은 시간을 요하는 전문분야
이며 국내에는 개발된 시스템이 전무하다. 앞으로 필히 개발되어야 될
정보산업분야이나 상기와 같은 이유로 연구자들은 부득이 ARC/INFO시
스템을 활용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3. 분석(Analysis)단계
ARC/INFO 시스템을 중심으로 작성된 대표적인 기능들이다.
ARC/INFO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는 달리 분석기능이 강
조된 GIS전용 소프트웨어이다. GIS에서 요구되는 입력, 분석, 자료관리,
출력의 4가지 기본적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공
간 및 속성자료들을 원활히 연결시켜주는 TOPOLOGY 기능이 뛰어나
며, 이러한 구조는 다음의 중요한 장점을 가지소 있다.
1. ARC/INFO DB는 타 시스템에 비하여 데이터 저장량을 반으로 축소
한다.
2. 자료의 출력, 처리속도의 증가
3. 특정한 공간 분석 가능
4. 크고 연속적인 지도영역의 처리 및 저장

속성자료들은 관계형데이타베이스 처리시스템으로 숫자, 글자, Graphic
Symbol, Reference Table등을 쉽게 만들고 관리하도록 해준다. 이러한
자료들은 데이터베이스내에 있는 지도 특성들과 자동으로 연결된다.
ARC/INFO의 관계형데이타 베이스 InterFace는 사용자들이 선정한 데이
터베이스 상에 있는 여러 형태의 자료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며 이
러한 구조는 보다 좋은 자료들을 관리하고 통합할 수 있는 융통성을 제
공한다. 현재 ARC/INFO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데이타베이스 시
스템은 ORACLE, INGRES, VM/CMS 시스템상의 SQL/DS 등이 있다.

4. 출력(Output)단계
분석, 처리된 지리정보를 사용자에게 잘 전달하기 위하여는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와 대상을 고려하여 정보의 양을 적당하게 조절하고 사용자가
적절한 정보를 편리,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
되어지는 도구로는 프린터, 플로터, EPP, 모니터 등이 있다. 선형의 벡터
자료를 표현하기 위하여는 플로터, 모니터가 적절하나 레스터자료의 표
현을 위하여는 EPP나 프린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선형벡터자료의
표현에도 탁월한 성능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