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설지공/경제경영

증권시장이론

1. 증권시장이란?



- (유가)증권(securities): 주식(stock) + 채권(bond)

ㅇ 증권이 기업, 정부, 공공 단체로부터 기관 및 일반 투자자에게 발행되거나 이미 발행된 증권이 투자자 사이에서 거래되는 시장이 증권시장이며 이런 업무를 하는 곳이 증권회사

ㅇ 증권시장=주식시장+채권시장; 증권시장=발행시장+유통시장

- 주식을 통해 조달한 자금은 회사의 자본금; 채권을 통해 조달한 자금은 회사의 부채

ㅇ 주식은 의결권을 지님; 회사 해산시 채권이 우선권을 지님





2. 증권의 종류



- 주식의 종류: 보통주와 우선주 등

ㅇ 우선주(preferred stock): 배당이나 기업 해산의 잔여 재산 분배에 대해 우선권을 갖는 주식

ㅇ 신형우선주: 정관에 배당률을 명시하고 3년 후 보통주로 전환되는 주식으로 우리 나라에 1998년 도입

- 채권의 종류: 국공채와 회사채

(1) 국공채

① 국채: 중앙정부가 공공사업 추진 또는 재정수지의 일시적 불균형을 보전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으로 국민주택채권(1종, 2종), 국고채, 재정증권 등

② 지방채: 상수도 공채, 지역개발공채, 서울도시철도공채 등

③ 특수채: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특별 법인이 설립근거법에 의해 발행하는 채권으로 토지개발채권, 전신전화채권 등

④ 금융채: 통화안정증권, 산업금융채권, 중소기업금융채권, 장기신용채권 등

(2) 회사채: 기업이 시설자금이나 운영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채권

- 금융기관의 지급보증 여부에 따라 보증사채와 무보증사채

- 최근에는 회사채 이외의 채권 발행이 크게 늘고 있음

ㅇ 전환사채(Convertible Bond, CB): 일정 조건에서 발행 기업의 주식으로 전환될 수 있는 채권

ㅇ 신주인수권부사채(Bond with Warrant, BW): 발행 기업이 신주를 발행할 때 이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까지 첨부된 채권

ㅇ 변동금리부사채(Floating Rate Note, FRN): 발행 금리가 정기예금 금리 등에 연동되어 있는 채권





3. 주식 유통시장의 종류



- 장내 시장, 코스닥 시장, 제3시장, 장외 시장

(1) 장내 시장(거래소 시장): 일정한 요건을 구비한 상장 주식의 매매가 이루어지는 시장

ㅇ 1부 시장 + 2부 시장 + 관리 대상 종목 ⇒ 1부 시장과 2부 시장은 2000년 5월 1일부터 통합되었음

(2) 코스닥(KOSDAQ) 시장: 건물없이 컴퓨터로 주식 거래를 하는 전자거래 시스템으로 1996년 7월 1일 영업 시작

ㅇ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ㅇ 등록 요건 수준이 낮아 고수익 고위험(High Return, High Risk)

ㅇ 벤처기업이나 중소기업의 주식이 주로 거래

ㅇ 미국은 나스닥(NASDAQ) 시장

(3) 제3시장 및 장외 시장: 비상장 주식이 개별 접촉에 의해 거래되는 시장

- 현물 시장(Spot Market)과 선물 시장(Futures Market)

ㅇ 선물 거래: 현재 시점에서 장래의 일정한 시기에 일정한 상품을 인수토록 약속했다가 실행하는 거래

ㅇ 옵션(Option): 미래 시점에 정해진 가격으로 자산을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 만기 때에 옵션 매입자는 불리할 경우 옵션을 행사하지 않아도 되므로 의무는 없지만 대신 옵션 발행자에게 일정한 대가를 지불해야 하는데 이를 option premium 또는 옵션 가격이라 함





4. 주가지수



- 주식시장 전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주식시장 지표

ㅇ 우리 나라의 종합주가지수는 1980년 1월 4일이 100

ㅇ KOSDAQ 지수는 1996년 7월 1일이 100

- 주가지수 산출방식에는 시가총액식 주가지수와 다우존스식 주가지수 두 가지

ㅇ 다우존스식 주가지수는 1884년 미국의 다우존스사(Dow Jones)가 처음 발표한 것으로 대표적인 우량주만 골라 주가평균(채택종목의 주가합계 / 채택종목수)을 비교하여 산출





5. 주식 투자의 판단 지표



- 주식 투자의 경우 배당소득 이외에 주식가격 상승에 따라 발생하는 매매차익, 즉 자본이득(capital gain)을 기대할 수 있음

- 주식 투자의 판단 지표로 배당수익률, 주가수익비율, 주가순자산비율 등이 있음

ㅇ 주가수익비율(PER; price earnings ratio): 주가를 법인세 공제 후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것

ㅇ 주가순자산비율(PBR; price book-value ratio): 주가를 1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것

- 블루칩(Blue Chip): 장기간 안정된 이익창출과 배당지급을 실행해 온 기업의 주식을 일컫는 말로서 대형 우량주를 의미

ㅇ 포커에서 쓰는 칩의 색깔에서 유래

ㅇ 예: SK 텔레콤, 삼성전자, 포항제철 등

ㅇ Yellow Chip





6. 주가와 거시 경제 환경



- 주가의 결정도 수요와 공급에 의해

- 수요와 공급, 즉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1) 경기와 주가

- 주가는 원론적으로 해당 기업이 미래에 벌어들일 수 있는 이익의 창출 능력이 어떠한지에 의해 영향을 받음

ㅇ 우리의 경우 주가지수는 경기 변동에 2∼3 분기 정도 선행함


(2) 통화 금융과 주가

- 주식은 생필품과는 달리 여유 자금의 유무가 전제되어야 하고 이때 여유 자금이 부동산, 예금(현금), 채권, 주식 중 어느 쪽으로 쏠리느냐가 중요함

- 통화량이 증가하면 주가가 상승함

ㅇ 직접적인 연결 고리: 통화량 증가 ⇒ 자산 포트폴리오(portfolio) 구성의 변화 ⇒ 주식 비중을 늘려 균형 포트폴리오 유지

ㅇ 간접적인 연결 고리: 통화량 증가 ⇒ 금리 하락 ⇒ 주가 상승

- 금리와 주가는 역의 관계

ㅇ 금리의 하락은 대체 관계에 있는 채권이나 예금의 수익성을 낮추므로 포트폴리오 구성의 변화를 통해 주식 비중 확대

ㅇ 금리의 하락은 기업의 금융비용 부담을 경감시킴으로써 기업 이익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주가를 상승시킴

ㅇ 금리의 하락은 소비를 증가시킴으로써 기업 매출이 늘어나고 주가 상승



(3) 물가와 주가

- 인플레는 금리상승의 유인이 되므로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

ㅇ 반면 인플레는 기업의 제품 가격 인상을 의미하기도 하므로 기업수지가 개선될 수도 있다는 측면

- 종합적으로 인플레는 주가와 (-)의 상관 관계


(4) 부동산과 주가

- 부동산을 투자 대상으로 볼 때 부동산은 주식의 대체 자산으로서 의미가 있으므로 부동산 가격은 주가와 역의 관계





7. 채권 가격과 금리



- 채권수익률과 채권 가격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임

- 채권수익률은 채권 유통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데 여러 요인이 수급에 영향을 미침

① 경기가 상승하여 기업의 자금수요가 늘어나면 채권의 발행이 증가하고 금리도 상승함에 따라 채권수익률이 상승(채권가격이 하락)하게 됨

②지급불이행 위험 정도가 낮고 상환기간이 짧으며 유동성이 높을수록 채권수익률은 낮아지게 됨(risk premium)

ㅇ 국채수익률 < 회사채수익률

ㅇ 보증회사채수익률 < 무보증회사채수익률

ㅇ 한국의 신용도가 떨어지면 외국에서 빌리는 금리도 상승

ㅇ 회사채 수익률 ? 경제성장률 + 물가상승률





8. 금리의 종류



- 국고채 금리

- 회사채 금리

- CD 금리

- 콜금리

ㅇ 금융 기관끼리 남거나 모자라는 자금을 서로 주고받을 때 적용되는 금리

ㅇ 콜시장은 금융시장 전체의 자금흐름을 비교적 민감하게 반영하므로 통상 단기 실세 금리 지표로 활용





9. 기타 용어



- 직접 투자와 간접 투자

- DR(주식 예탁 증서, Depository Receipt)

ㅇ 주식을 외국에서 팔 때 수탁 은행과의 예탁 계약을 표시하는 증서

- KOSPI(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200

ㅇ 한국을 대표하는 200개 종목 주식의 시가총액의 주가지수

-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ㅇ 유상증자: 신주 발행과 동시에 회사 재산이 증가함

ㅇ 무상증자: 자본준비금을 자본금으로 전입할 때 주주에게 무상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것으로 회사 총 자산에는 변화가 없음

- RP(환매조건부 채권): 일정 기간 후 일정한 가격으로 다시 매수/매도한다는 조건으로 매매하는 채권

- CP(Commercial Paper, 기업어읍): 종금사로부터 선정된 기업이 단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한 약속 어음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험문제]경제시험에 잘나오는 문제 및 용어  (0) 2001.01.27
최신 경제 이슈 및 뉴스  (0) 2001.01.27
실업과 인플레이션  (0) 2001.01.27
산업조직이론  (0) 2001.01.27
화 폐 이 론  (0) 2001.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