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산
- 생산(production)이란 재화를 교환(유통), 운반, 저장, 가공하는 행위를 말한다.
ㅇ흔히 생각하는 대로 재화를 가공하는 행위뿐만 아니라 인간의 효용을 증대시키는 모든 행위를 생산이라 한다.
- 서비스업에 해당되는 생산 활동의 예
ㅇ저장: 감이나 쌀을 저장하여 이듬해 봄과 여름에 먹을 수 있게 해줌으로써 효용을 증대시키므로 생산이다.
ㅇ운반: 생산지에서 소비지로 운반하는 것도 소비자의 효용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생산활동이다.
- 경제의 서비스화: 한 나라의 경제에서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
- 생산을 담당하는 경제주체는 기업이다.
ㅇ하나의 기업에는 여러 개의 공장이 있을 수 있고, 동일한 물건을 만드는 여러 기업이 모여 하나의 산업을 형성한다.
- 생산의 목적(기업의 목적)은 이윤 극대화(profit maximization)이다.
ㅇ그러나 현실에서는
① 큰 폭의 이윤은 소비자의 반감을 초래할 우려가 있어 이를 회피하는 기업이 있고
② 전문경영인은 이윤극대화보다는 안전성 위주의 경영을 하려는 경향이 있고
③ 큰 폭의 이윤은 새로운 경쟁업체의 진입을 유발할 수 있어
이윤극대화의 목적 말고 다른 목적을 갖고 경영하는 기업을 발견할 수 있다.
- 기업이 추구하는 다른 목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매출액 극대화, 성장률 극대화, 경영자의 사회적 명예 추구 등이 있다.
ㅇHerbert Simon은 "기업은 한 마디로 만족할 만한 목표를 추구한다."고 말한다.
2. 생산함수
- 기업은 여러 생산요소를 사용해 재화를 생산한다.
- 생산함수란 생산요소의 투입과 생산물의 산출 간에 존재하는 일정한 기술적 관계를 함수형태로 표시한 것이다.
ㅇX = f(K, L)
단, X는 재화, L은 노동, K는 자본
- 생산요소에는 크게 노동, 자본, 토지가 있다.
ㅇ노동은 사람이 제공하는 것이고
ㅇ자본은 사람이 만들어낸 요소이고
ㅇ토지는 땅, 하천, 대기, 자원 등과 같이 자연이 만든 것을 총칭한다.
ㅇ노동을 제공한 대가로 임금을, 자본을 제공한 대가로 이자를, 토지를 제공한 대가로 지대를 받는다.
- 최근에는 노동, 자본, 토지와 같은 전통적인 유형의 생산요소(이를 제1의 생산요소라 함) 외에도 무형인 제2의 생산요소를 중요시하고 있는데 제2의 생산요소에는 지식, 기술, 정보가 있다.
- 한계생산과 평균생산
ㅇ노동의 한계생산은 노동을 한 단위 추가로 투입했을 때 생산의 증가분을 의미한다.
ㅇ노동의 평균생산은 노동 한 단위당 생산량을 의미하며, 노동생산성이라 할 때 평균 생산을 의미하는 말이다.
- 한계생산 체감의 법칙, 수확 체감의 법칙(law of diminishing marginal product)
ㅇ자본의 투입을 고정시키고 다른 생산요소인 노동만의 투입을 증가시키면 총생산은 증가하지만 그 증가율, 즉 한계생산은 점차 감소한다.
ㅇ이는 소비이론의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과 비슷한 현상임
ㅇ예: 농업사회에서 경작지가 일정할 때 농부의 수가 늘어나도 농작물의 수확은 체감한다.
- new economy / digital economy와 한계생산 체증의 법칙 논쟁
3. 규모에 대한 수익
- 자본과 노동의 두 생산요소를 동시에 증가시켰을 때 생산수준이 얼마나 변하는가를 측정하는 개념이 규모에 대한 수익이다.
ㅇ수요 이론의 탄력성과 비슷한 개념이지만 이 경우에는 두 가지 생산요소(노동 및 자본)가 동시에 변할 때의 반응을 보는 반면 탄력성은 한 요인이 변할 때의 반응을 보는 것이므로 탄력성의 개념을 쓰는 대신 규모에 대한 수익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ㅇ 노동을 2배, 자본을 2배로 동시에 증가시켰을 때, ① 생산량이 2배보다 많이 증가하거나, ② 생산량이 2배보다 작게 증가하거나, ③ 생산량이 2배만큼 증가하거나의 세 가지 가운데 하나가 나타날 것이다. 이 세 가지 경우를 각각 규모에 대한 수익체증, 규모에 대한 수익체감, 규모에 대한 수익불변이라고 한다.
① 규모에 대한 수익 체증(IRS)은 생산요소를 증가시킨 비율보다 생산수준이 더 큰 비율로 증가하는 경우를 말한다.
ㅇ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라고도 한다.
ㅇ분업, 전문화, 자동화, 대량 원료구입에 따른 단가 하락 등에 의해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
- 시너지(synergy) 효과: 1 + 1 > 2
ㅇ최근 우리나라에서 기업을 합병하거나 은행을 합병하는 것에 대한 경제적 근거가 되고 있다.
은행합병과 시너지 효과
② 규모에 대한 수익 체감(DRS)은 생산요소를 증가시킨 비율보다 생산수준이 더 작은 비율로 증가하는 경우를 말한다.
ㅇ규모의 불경제(diseconomies of scale)라고도 한다.
ㅇ기업의 규모가 너무 커지게 되면 규모의 경제가 사라지고 규모의 불경제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규모가 적당한 수준 이상으로 커질 경우 관리나 통제가 어려워져 생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③ 규모에 대한 수익 불변(CRS)은 생산요소를 증가시킨 비율만큼 생산수준이 증가하는 경우를 말한다.
- 결혼과 규모의 경제: 독신으로 살고 있는 남녀는 각각 전등을 사용하며, 각각 TV를 보며, 각각 밥솥을 사용한다. 그런데 이들이 결혼을 하면 이제는 전등도 공유할 수 있고 TV나 밥솥도 공유할 수 있으므로 가정의 규모가 커질수록 비용이 절감된다. 따라서 결혼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다.
4. 기회비용 및 귀속비용
- 경제학에는 여러 종류의 비용이 있는데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이 기회비용이다.
- 기회비용(opportunity cost)은 하나의 행위를 함으로써 상실하게 된 편익을 의미한다.
ㅇ예: 공부의 (기회)비용은 공부를 하는 데 들어간 직접적인 비용(학교까지의 차비, 볼펜비용, 공책비용 등)이나 노고가 아니라 공부를 하느라고 포기한 date로부터 느낄 수 있었던 즐거움이다.
- 우리가 의사결정을 할 때 고려해야 할 것은 바로 기회비용이다.
- 귀속비용(imputed cost) 또는 암묵적 비용(implicit cost): 생산자가 생산요소를 구입하지 않고 자신의 노동이나 자본을 투입할 때, 즉 자가소유 생산요소를 자신의 생산활동을 위해 씀으로써 포기하는 수입을 말한다.
- 기계를 100만원에 구입한 후 10년을 쓸 수 있다면 회계비용은 매년 10만원으로 계산이 될 수 있으나 기회비용의 측면에서는 이와 전혀 다르다.
- 생산(production)이란 재화를 교환(유통), 운반, 저장, 가공하는 행위를 말한다.
ㅇ흔히 생각하는 대로 재화를 가공하는 행위뿐만 아니라 인간의 효용을 증대시키는 모든 행위를 생산이라 한다.
- 서비스업에 해당되는 생산 활동의 예
ㅇ저장: 감이나 쌀을 저장하여 이듬해 봄과 여름에 먹을 수 있게 해줌으로써 효용을 증대시키므로 생산이다.
ㅇ운반: 생산지에서 소비지로 운반하는 것도 소비자의 효용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생산활동이다.
- 경제의 서비스화: 한 나라의 경제에서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다.
- 생산을 담당하는 경제주체는 기업이다.
ㅇ하나의 기업에는 여러 개의 공장이 있을 수 있고, 동일한 물건을 만드는 여러 기업이 모여 하나의 산업을 형성한다.
- 생산의 목적(기업의 목적)은 이윤 극대화(profit maximization)이다.
ㅇ그러나 현실에서는
① 큰 폭의 이윤은 소비자의 반감을 초래할 우려가 있어 이를 회피하는 기업이 있고
② 전문경영인은 이윤극대화보다는 안전성 위주의 경영을 하려는 경향이 있고
③ 큰 폭의 이윤은 새로운 경쟁업체의 진입을 유발할 수 있어
이윤극대화의 목적 말고 다른 목적을 갖고 경영하는 기업을 발견할 수 있다.
- 기업이 추구하는 다른 목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매출액 극대화, 성장률 극대화, 경영자의 사회적 명예 추구 등이 있다.
ㅇHerbert Simon은 "기업은 한 마디로 만족할 만한 목표를 추구한다."고 말한다.
2. 생산함수
- 기업은 여러 생산요소를 사용해 재화를 생산한다.
- 생산함수란 생산요소의 투입과 생산물의 산출 간에 존재하는 일정한 기술적 관계를 함수형태로 표시한 것이다.
ㅇX = f(K, L)
단, X는 재화, L은 노동, K는 자본
- 생산요소에는 크게 노동, 자본, 토지가 있다.
ㅇ노동은 사람이 제공하는 것이고
ㅇ자본은 사람이 만들어낸 요소이고
ㅇ토지는 땅, 하천, 대기, 자원 등과 같이 자연이 만든 것을 총칭한다.
ㅇ노동을 제공한 대가로 임금을, 자본을 제공한 대가로 이자를, 토지를 제공한 대가로 지대를 받는다.
- 최근에는 노동, 자본, 토지와 같은 전통적인 유형의 생산요소(이를 제1의 생산요소라 함) 외에도 무형인 제2의 생산요소를 중요시하고 있는데 제2의 생산요소에는 지식, 기술, 정보가 있다.
- 한계생산과 평균생산
ㅇ노동의 한계생산은 노동을 한 단위 추가로 투입했을 때 생산의 증가분을 의미한다.
ㅇ노동의 평균생산은 노동 한 단위당 생산량을 의미하며, 노동생산성이라 할 때 평균 생산을 의미하는 말이다.
- 한계생산 체감의 법칙, 수확 체감의 법칙(law of diminishing marginal product)
ㅇ자본의 투입을 고정시키고 다른 생산요소인 노동만의 투입을 증가시키면 총생산은 증가하지만 그 증가율, 즉 한계생산은 점차 감소한다.
ㅇ이는 소비이론의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과 비슷한 현상임
ㅇ예: 농업사회에서 경작지가 일정할 때 농부의 수가 늘어나도 농작물의 수확은 체감한다.
- new economy / digital economy와 한계생산 체증의 법칙 논쟁
3. 규모에 대한 수익
- 자본과 노동의 두 생산요소를 동시에 증가시켰을 때 생산수준이 얼마나 변하는가를 측정하는 개념이 규모에 대한 수익이다.
ㅇ수요 이론의 탄력성과 비슷한 개념이지만 이 경우에는 두 가지 생산요소(노동 및 자본)가 동시에 변할 때의 반응을 보는 반면 탄력성은 한 요인이 변할 때의 반응을 보는 것이므로 탄력성의 개념을 쓰는 대신 규모에 대한 수익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ㅇ 노동을 2배, 자본을 2배로 동시에 증가시켰을 때, ① 생산량이 2배보다 많이 증가하거나, ② 생산량이 2배보다 작게 증가하거나, ③ 생산량이 2배만큼 증가하거나의 세 가지 가운데 하나가 나타날 것이다. 이 세 가지 경우를 각각 규모에 대한 수익체증, 규모에 대한 수익체감, 규모에 대한 수익불변이라고 한다.
① 규모에 대한 수익 체증(IRS)은 생산요소를 증가시킨 비율보다 생산수준이 더 큰 비율로 증가하는 경우를 말한다.
ㅇ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라고도 한다.
ㅇ분업, 전문화, 자동화, 대량 원료구입에 따른 단가 하락 등에 의해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
- 시너지(synergy) 효과: 1 + 1 > 2
ㅇ최근 우리나라에서 기업을 합병하거나 은행을 합병하는 것에 대한 경제적 근거가 되고 있다.
은행합병과 시너지 효과
② 규모에 대한 수익 체감(DRS)은 생산요소를 증가시킨 비율보다 생산수준이 더 작은 비율로 증가하는 경우를 말한다.
ㅇ규모의 불경제(diseconomies of scale)라고도 한다.
ㅇ기업의 규모가 너무 커지게 되면 규모의 경제가 사라지고 규모의 불경제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규모가 적당한 수준 이상으로 커질 경우 관리나 통제가 어려워져 생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③ 규모에 대한 수익 불변(CRS)은 생산요소를 증가시킨 비율만큼 생산수준이 증가하는 경우를 말한다.
- 결혼과 규모의 경제: 독신으로 살고 있는 남녀는 각각 전등을 사용하며, 각각 TV를 보며, 각각 밥솥을 사용한다. 그런데 이들이 결혼을 하면 이제는 전등도 공유할 수 있고 TV나 밥솥도 공유할 수 있으므로 가정의 규모가 커질수록 비용이 절감된다. 따라서 결혼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다.
4. 기회비용 및 귀속비용
- 경제학에는 여러 종류의 비용이 있는데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이 기회비용이다.
- 기회비용(opportunity cost)은 하나의 행위를 함으로써 상실하게 된 편익을 의미한다.
ㅇ예: 공부의 (기회)비용은 공부를 하는 데 들어간 직접적인 비용(학교까지의 차비, 볼펜비용, 공책비용 등)이나 노고가 아니라 공부를 하느라고 포기한 date로부터 느낄 수 있었던 즐거움이다.
- 우리가 의사결정을 할 때 고려해야 할 것은 바로 기회비용이다.
- 귀속비용(imputed cost) 또는 암묵적 비용(implicit cost): 생산자가 생산요소를 구입하지 않고 자신의 노동이나 자본을 투입할 때, 즉 자가소유 생산요소를 자신의 생산활동을 위해 씀으로써 포기하는 수입을 말한다.
- 기계를 100만원에 구입한 후 10년을 쓸 수 있다면 회계비용은 매년 10만원으로 계산이 될 수 있으나 기회비용의 측면에서는 이와 전혀 다르다.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요와 공급 및 가격결정이론 (0) | 2001.01.27 |
---|---|
소 비 이 론 (0) | 2001.01.27 |
경제학과에 대해 궁금한 사항들 (0) | 2001.01.27 |
북유럽 학파 (0) | 2001.01.27 |
오스트리아 학파 (0) | 2001.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