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설지공/경제경영

경제학과에 대해 궁금한 사항들

경제학과에서는 무엇을 배우나?
과학적 방식의 접근이 필요한 학문
경제학은 흔히 ‘사회과학의 꽃’이라고 불린다. 사회과학은 자연과학과 달리 수식으로 나타내기가 어려운데, 경제학만은 수학과 통계학 등 자연과학의 방법론을 동원해서 객관적 법칙을 실증적으로 연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경제학은 다른 사회과학에 비해 과학성과 논리성이 월등히 뛰어나다. 경제학 연구에는 수학과 통계학이 필수적이다. 그래서 1학년 때 전공 기초 과목으로 경제원론 이외에 수학과 통계학을 배운다.



경제학의 여러 분야

전공 과목은 크게 이론경제학, 응용경제학, 경제사와 경제사상사(경제학설사)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이론경제학 분야에서는 미시경제학, 거시경제학, 수리경제학, 계량경제학 등 오늘날 경제학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이론들과 만나게 된다. 미시경제학이란 소비자와 생산자 등 개별 경제 단위의 경제 행위를 다루는 분야이다. 거시경제학이란 국민 소득, 생산, 고용, 물가 등 좀더 큰 단위의 경제 현상을 연구하는 것을 말한다. 미시경제학이 나무를 보는 것이라면 거시경제학은 숲을 보는 것이다. 수리경제학이란 수학의 방법을 경제학 이론에 적용한 분야이며, 계량경제학은 통계학의 방법을 경제학의 실증적 문제에 적용한 분야를 말한다. 응용경제학은 경제학 이론을 이용해 현실의 다양한 문제를 설명하고 분석하는 분야를 말한다. 재정학, 화폐금융론, 자원경제론, 지역경제론, 비교경제제도론, 노동경제학, 산업조직론, 경제발전론 등이 여기에 속한다. 경제사와 경제사상사(경제학설사) 분야는 경제와 경제 학설을 역사적으로 살펴보는 분야이다. 한국경제사, 동양경제사, 서양경제사 등의 과목을 통해 인간의 경제 행위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에 대해 배우게 된다. 경제사상사는 다양한 경제 이론이 어떤 사회적 배경에서 생겨나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게 된다. 흔히 경제학과 경영학을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두 학문은 연관성도 적지 않지만, 연구 대상과 방법은 크게 다르다. 경제학은 한 나라의 국민 경제 전체를 연구하는데 반해, 경영학은 국민 경제의 구성 부분인 기업의 경제 행위를 연구한다. 또 경제학은 경제 현상과 경제 행위의 분석에 관심을 두는 데 반해, 경영학은 회사라는 조직의 관리와 상품의 영업 등 훨씬 구체적인 경제 활동에 관심을 둔다. 현대 미시경제학의 체계를 구축한 앨프레드 마샬(Alfred Marshall, 1842~1924)은 “경제학자는 따뜻한 마음과 냉철한 두뇌를 지녀야 한다.”는 말을 남겼다. 경제 현상의 객관적 분석을 위해서는 엄밀하고 냉철해야 하지만, 그 경제 현상이 다수의 사람들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따뜻한 마음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졸업 후에는?
경제, 금융, 무역 전문가로서 사회 발전에 기여
경제학 전공자는 대체로 어느 기업체에나 진출이 가능하지만, 증권 회사나 은행 등 금융 계통의 기업체와 무역 관련 기업체에 진출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 기업체에 사무원으로 취업하는 경우도 많고, 경제 신문 등 언론사에 진출하는 경우도 있다. 재정경제부, 건설교통부, 정보통신부, 환경부 등 정부 부처에서 일할 수도 있다. 행정고등고시에 재경직을 따로 뽑고 있는데, 이에 응시하면 경제 관련 부처에서 경제 관료의 길을 걸을 수 있다. 경제 관료는 나라 살림에서 매우 핵심적인 일을 하게 된다. 경영학과에 개설되어 있는 회계 관련 과목을 수강해 공인회계사 시험을 보기도 한다(공인회계사에 대해서는 경영학과 참조.). 대학원에 진학하여 보다 깊은 연구를 거쳐 금융 기관과 일반 기업체 부설 경제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하기도 한다. 전국경제인연합회, 한국상공회의소 등 수많은 경제 단체에서도 경제학 전공 연구원을 필요로 한다. 또 한국개발연구원, 산업연구원, 통신개발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조세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 국·공립 연구소의 연구원으로 진출할 수도 있다. 대학원을 마친 뒤 대학에 남아 학자의 길을 걸을 수도 있다.



설치 대학

<경제학> 가톨릭대(성심) 강남대 강남대(야간) 강릉대 강원대 건국대 경기대(수원) 경기대(야간) 경남대 경남대(야간) 경북대 경산대 경상대 경성대 경성대(야간) 경원대 경일대 경일대(야간) 경희대 계명대 계명대(야간) 고려대 고려대(서창) 공주대 관동대 관동대(야간) 국민대 국민대(야간) 군산대 단국대 단국대(천안) 단국대(야간) 대구대 대구효성가톨릭대 대구효성가톨릭대(야간) 대전대 대전대(야간) 대전산업대 대진대 대진대(야간) 덕성여대 동국대 동국대(경주) 동아대 동아대(야간) 동의대 동의대(야간) 명지대 명지대(야간) 목원대 목포대 부경대 부경대(야간) 부산대 부산외대 상명대 상명대(야간) 상지대 상지대(야간) 서강대 서경대(야간) 서울대(학부) 서울시립대(학부) 서울여대 서원대 성공회대 성균관대 성균관대(야간) 성신여대 성신여대(야간) 수원대 숙명여대 숙명여대(야간) 순천대 순천향대 숭실대 숭실대(야간) 신라대 신라대(야간) 아주대 안동대 연세대 연세대(원주) 영남대 영남대(야간) 울산대 원광대(학부) 위덕대 이화여대 인제대 인천대 인천대(야간) 인하대 전남대 전북대 전주대 제주대 조선대(주간) 조선대(야간) 중부대 중앙대 중앙대(학부 안성) 창원대 청주대 충남대 충북대 한국외대 한국외대(용인) 한국해양대 한남대 한동대 한라대 한림대(학부) 한성대 한성대(야간) 한신대 한양대(학부) 한양대(학부 안산) 호남대 호서대 호서대(야간) 홍익대





유사 학과

<경제·금융학> 광주대
<경제정보학> 배재대
<국제경제학> 선문대 한신대
<국제지역경제학> 홍익대(조치원)
<농업경제학> 경북대 경상대 순천대 전남대 전북대 제주대 충남대 충북대
<농경제사회학부> 서울대
<무역경제학> 동신대
<사이버경제학> 건양대
<산업경제학> 밀양대 삼척대 상주대 중앙대(안성) 진주산업대
<산업재산권학> 경기대(수원 야간)
<생명자원경제학> 건국대(충주)
<소비자경제학> 숙명여대 숙명여대(야간)
<유통학> 우석대 우석대(야간) 초당대
<응용경제학> 동아대
<응용정보통계학> 경기대(수원 야간)
<응용통계학> 건국대 경기대(수원) 경원대 상지대 상지대(야간) 서원대 연세대
<자원환경경제학> 부경대
<정보경제학> 명지대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 비 이 론  (0) 2001.01.27
생 산 이 론  (0) 2001.01.27
북유럽 학파  (0) 2001.01.27
오스트리아 학파  (0) 2001.01.27
로잔느 학파  (0) 2001.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