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출처: 재정경제부/ 재경부
현재 우리 경제는 부진에서 벗어나 점차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내년에는 회복세가 더욱 확산되어 4.3%~5.8%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김진표 부총리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9일 주요 국책 및 민간 연구기관장과의 오찬간담회를 개최하고 최근의 경기상황 및 내년도 경제운용방향에 대해 연구기관장들과 의견을 교환했다.
최근 우리경제는 수출 호조세에 힘입어 생산 등 지표가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경기종합지수도 개선되는 추세이나 소비·투자 부진과 고용여건이 나빠 체감경기는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내년에는 수출호조가 내수증대로 이어져 회복세가 더욱 확산되며 뚜렷한 경기회복을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됐다. 경기회복의 속도에 대해서는 연구기관마다 다소 다른 견해를 보였으나, 늦어도 내년 후반기에는 회복세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기관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삼성경제연구소가 가장 낮은 4.3%, KDI 4.8%, 산업연구원 5.5%, 금융연구원이 가장 높은 5.8%로 예상했다.
내년도 경제운용에 대해서는 전반적인 경기회복과 성장의 모멘텀을 강화하기 위해 경제주체들의 심리회복이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북핵 문제, 이해집단의 갈등, 카드사 유동성 문제 등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경제주체들의 '경제하려는 의지'와 자신감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구체적인 정책방향에 대해서는 아직 경기회복 강도와 지속성이 미약하고 인플레 압력이 높지 않으므로 내년 상반기까지는 재정을 통한 적극적인 경기대응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대체적인 의견이었다. 그리고, 경제회복의 바탕에는 투자활성화와 요소생산성이 수반되어 잠재성장률이 높아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대외개방 확대 및 시장경제에 충실한 경제시스템의 강화를 통한 총요소 생산성 향상 정책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한편, 내년 노사관계 안정을 위해서는 손배 및 가압류 문제, 비정규직 문제, 주 5일제 도입을 둘러싼 임금보전 문제 등에 대한 합리적 해결이 필요하며, 노동력의 고령화 등 중장기 인력구조 변화에 대응하여 양질의 청년인력 공급 증대, 여성인력 및 장년인력 활용 방안 등을 강구해 나가야 한다고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중수 한국개발연구원 원장 △정해왕 금융연구원 원장 △한덕수 산업연구원 원장 △안충영 대외경제연구원 원장 △이원덕 노동연구원 원장 △김창록 국제금융센터 소장 △좌승희 한국경제연구원 원장 △이윤호 LG경제연구원 원장 △정문건 삼성경제연구소 전무 △이인호 무역연구소 연구조정실장이 참석했다.
현재 우리 경제는 부진에서 벗어나 점차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내년에는 회복세가 더욱 확산되어 4.3%~5.8%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김진표 부총리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9일 주요 국책 및 민간 연구기관장과의 오찬간담회를 개최하고 최근의 경기상황 및 내년도 경제운용방향에 대해 연구기관장들과 의견을 교환했다.
최근 우리경제는 수출 호조세에 힘입어 생산 등 지표가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경기종합지수도 개선되는 추세이나 소비·투자 부진과 고용여건이 나빠 체감경기는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내년에는 수출호조가 내수증대로 이어져 회복세가 더욱 확산되며 뚜렷한 경기회복을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됐다. 경기회복의 속도에 대해서는 연구기관마다 다소 다른 견해를 보였으나, 늦어도 내년 후반기에는 회복세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기관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삼성경제연구소가 가장 낮은 4.3%, KDI 4.8%, 산업연구원 5.5%, 금융연구원이 가장 높은 5.8%로 예상했다.
내년도 경제운용에 대해서는 전반적인 경기회복과 성장의 모멘텀을 강화하기 위해 경제주체들의 심리회복이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북핵 문제, 이해집단의 갈등, 카드사 유동성 문제 등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경제주체들의 '경제하려는 의지'와 자신감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구체적인 정책방향에 대해서는 아직 경기회복 강도와 지속성이 미약하고 인플레 압력이 높지 않으므로 내년 상반기까지는 재정을 통한 적극적인 경기대응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대체적인 의견이었다. 그리고, 경제회복의 바탕에는 투자활성화와 요소생산성이 수반되어 잠재성장률이 높아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대외개방 확대 및 시장경제에 충실한 경제시스템의 강화를 통한 총요소 생산성 향상 정책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한편, 내년 노사관계 안정을 위해서는 손배 및 가압류 문제, 비정규직 문제, 주 5일제 도입을 둘러싼 임금보전 문제 등에 대한 합리적 해결이 필요하며, 노동력의 고령화 등 중장기 인력구조 변화에 대응하여 양질의 청년인력 공급 증대, 여성인력 및 장년인력 활용 방안 등을 강구해 나가야 한다고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중수 한국개발연구원 원장 △정해왕 금융연구원 원장 △한덕수 산업연구원 원장 △안충영 대외경제연구원 원장 △이원덕 노동연구원 원장 △김창록 국제금융센터 소장 △좌승희 한국경제연구원 원장 △이윤호 LG경제연구원 원장 △정문건 삼성경제연구소 전무 △이인호 무역연구소 연구조정실장이 참석했다.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촌·농업 발전에 향후 10년간 119조원을 투·융자 (0) | 2003.12.21 |
---|---|
민영화된 리딩뱅크..`기대반 우려반`-정부보유 국민은행주식 전량매각 (0) | 2003.12.21 |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관리 및 운용 (0) | 2003.12.21 |
인도경제, 당분간 고성장세 유지할 것으로 기대 (0) | 2003.12.21 |
인력구조조정의 후폭풍을 관리하라 (0) | 2003.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