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출처: 대외경제정책연구원/지역경제동향/남아시아경제동향
자스완트 싱(Jaswant Singh) 인도 재무장관은 지난 11월 23일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주최 인도경제회의(India Economic Summit)에서 금년 인도 경제가 7% 이상 고성장을 달성할 것이라고 발표
□ 싱 재무장관은 인도 경제의 기초가 독립이후 가장 건실한 상태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경제 호조가 일시적인 것(cyclical)에 그치지 않고 향후 수년 간 지속될 것이라고 강조
- 이는 농업생산의 호조로 국내 소비가 진작된데다 IT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한 국내산업 및 수출 호황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됨.
- 4인의 회의 공동의장들도 인도 경제의 빠른 성장 가능성에 동의하는 한편, 인프라 개선, 민영화, IT 기술을 통한 제조업 발전, 인력 개발, 세계 경제에의 통합 노력 확대, 수출시장 개척 등 인도 경제의 지속발전을 위한 과제를 지적
2. 인도 경제의 평가 및 전망
□ 인도경제는 농작물 작황의 호조와 제조업 및 서비스 분야의 생산 증대에 힘입어 2003년 정부가 목표로 하는 6% 성장대 재진입에 이어 2004년에도 6.6% 성장을 무난히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2002년 하반기부터 본격화되고 있는 제조업과 서비스 생산의 증대로 외국인 투자가 증가함으로써 인도 경제는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 특히 전 인구의 70%가 종사하면서 인도 GDP의 약 27%를 차지하는 농업생산이 작황호조를 보임으로써 경제성장에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소비심리가 되살아나 내수가 회복되고 있음.
□ 인도는 2003년과 2004년 대외교역에서 각각 GDP의 0.4%, 0.8% 규모의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 정보기술(IT) 및 IT 응용 서비스(IT Enabled Service, ITES) 산업을 필두로 인도 GDP의 50%를 차지하는 서비스 분야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인도의 수출 증가를 주도할 전망임.
○ 국제통계협회(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는 2003년 조사보고서에서 인도의 IT시장은 연간 27.9%의 성장세를 보여 2006년경에는 1조9,610억 루피(미화 약 420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
○ 향후에도 IT 서비스 및 ITES 분야가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이면서 인도 IT산업 발전의 핵심 동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 또한 서비스 산업이 고성장을 이룩하는 한편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원유(브렌트유)가 당분간 저가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인도 경제는 향후 수 년간 6%를 상회하는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2004년 10월 총선을 앞두고 있어 과감한 경제개혁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임.
- 그러나 인도는 재정적자를 GDP의 10% 이하로 낮추기 위한 재정개혁 추진, 은행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액 한도를 49%에서 74%로 인상키로 하는 등 금융권에 대한 규제 완화, 국영기업 민영화와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와 같은 기업부문의 구조개혁 실시 등을 통해 고속성장의 발판을 굳힐 것으로 기대됨.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년 경제성장률 4.3%~5.8% 전망 (0) | 2003.12.21 |
---|---|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관리 및 운용 (0) | 2003.12.21 |
인력구조조정의 후폭풍을 관리하라 (0) | 2003.12.21 |
내수 불황을 모르는 高成長 기업 - 우량 5社의 사례 (0) | 2003.12.21 |
외국인투자기업의 R&D 현황 및 과제 (0) | 2003.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