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설지공/경제경영

[경제학파]북유럽-스톡홀름학파

근대 경제학이론의 거장으로서 화폐적 경기이론,자본,이자 이론,한계 효용 원리 및 한계 생산력설의 확충 발전에 위대한 공헌을 한 윅셀(Knut Wicksell)을 위시한 캇셀(Gustav Cassel),데이빗(David Davidson),헥셔(Eli F. Heckscher),올린(Bertil G. Ohlin)등 스웨덴의 경제학자들은 독자적 구상과 분석 개념을 이용하여 케인즈 인론의 원형(原型) 이라고도 할 수 있는 '거시적 경제 변동 이론'을 전개했다.이러한 경제학자들을 올린은 '스톡홀름 학파-Stockholm school'라고 칭하였지만,북 유럽학파 혹은 스웨덴 학파로 불리워지기도 한다.북유럽 경제학자로는 이외에 '오슬로 학파(Oslo school)'로 불리워지는 프리쉬(Ragnar A.K. Frisch),호베르모(Trygve Haavelmo)등이 있다.

시조 윅셀은 오스트리아 학파의 뵘 바베르크의 제자로 그의 자본이론을 발전시켜 '화폐 자본이론'을 수립했고,근대 자본이론의 기초를 다진 공로가 있다.북유럽 학파의 특징은 이러한 윅셀의 전통을 이은 자본이론과 동학분석(動學分析)에 있고,이 학파가 이용했던 각종 동학적 분석 개념은 현대 자본이론의 공유재산으로써 널리 이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프리쉬,호베르모등은 2차 대전후의 계량경제학의 발전에 커다란 공헌을 하였다.이들을 특징 짓는 중요한 개념으로 '기간 분석'의 개념이 있다.

사전적 정의(두산백과사전에서): 북유럽, 특히 스웨덴을 중심으로 형성된 경제학파.J.비크셀, G.카셀 등을 창시자로 한다. 스톡홀름학파(Stockholm school) 또는 스웨덴학파(Swedish school)·북구학파(北歐學派)라고도 한다.

특징은 종래의 경제학의 정태적(靜態的) 일반균형이론의 동학화(動學化)와 확충을 꾀하고, 경제변동의 과정을 동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경제변동의 이론에 공헌하였다는 점과, 현실분석을 통하여 실제적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실천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있다.

<참고사항>

일반균형이론:로잔학파의 시조 M.E.L.발라가 확립한 경제이론. 발라 이후 V.파레토, J.R.힉스, P.A.새뮤얼슨, K.J.애로 등이 크게 발전시켜 현대경제이론의 공통지반의 하나가 되었다. 일반균형이론의 특징은 경제 전체의 기능을 각 상품의 수요·공급의 균형방정식을 중심으로 파악하여 그를 통해서 그물의 눈과 같은 상호의존 질서를 밝히는 데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가장 표준적인 예는 개별적인 소비자(가계)의 효용최대화 행동인데, 이는 생산자(기업)의 이윤최대화 행동을 다루는 주체균형이론과, 시장에서의 수급의 균형을 다루는 시장균형이론으로 이루어진다. 주체균형이론의 목표는 각 개별주체의 합리적 행동을 경유하여 전상품의 수요함수·공급함수를 연역(演繹)하는 데 있다. 이렇게 하여 유도되는 수급함수에 따라서 시장에서의 균형가격의 성립을 밝히고, 또한 여건의 변화에 따른 각 상품의 가격변화의 법칙을 규명하는 것이 시장균형이론의 과제이다.

카셀(1866.10.20 ~ 1945.1.14):1866년 10월 20일 스톡홀름에서 출생하였다. 스톡홀름대학교와 웁살라대학교에서 수학하고, 1904∼1933년 스톡홀름대학교 경제학 교수를 지냈다. 제1차 세계대전 후 많은 국제회의에 참석, 악성 인플레이션과 국제통화의 혼란기에 외환(外換)시장은 각국의 화폐의 구매력의 비(比)에 의해 결정된다는 구매력 평가설(平價說)을 주창하였다. 1920년 브뤼셀 국제금융회의에 참석하여 세계의 화폐문제에 관한 의견서를 제출하였고, 1928년에는 미국으로 건너가 통화문제에 관한 강연여행을 하였다. 1933년 런던 세계경제회의 대표가 되었고, 《세계의 화폐문제 The World’s Monetary Problem》(1921) 등의 국제 금융문제에 관한 책들을 저술하였다.

경제이론에 있어서의 업적은 첫째, L.발라의 일반균형이론을 통속화하여 보급하고 ‘희소성(稀少性)의 원리’를 제창하였으며 둘째, 경기이론을 경제학의 기초이론 속에 도입하였으며 셋째, 경제학에 있어서 가치론의 무용(無用)을 주장한 것 등이다. 주요 저서에 《사회경제학원론 Theoretische Sozial熙konomie》(1918) 《이자의 성질과 필요성 The Nature and Necessity of Interest》(1903)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