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설지공/경제경영

1994년 게임이론의 정립과 발전 / 존 내쉬, 존 하사니, 라인하르트 젤텐

1994년 게임이론의 정립과 발전 / 존 내쉬, 존 하사니, 라인하르트 젤텐

내쉬, 하사니, 젤텐과 한국경제

일반균형이론의 경우 경제주체들이 시장의 정보를 모두 공유하고 있고 이윤극대화의 원리에 의해 움직이는 단순행위자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은 현실적합성이 결여되어 있다. 모든 경제주체들은 현실적으로 상황이 변화함에 따라 행동방식을 바꾼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이윤동기에 의해 행동하지만, 시장에 참여하는 상대방의 행태를 보고 이에 대응하는 행동방식을 변화시킨다. 가격만이 아니라 시장상황, 상대방의 행동 등을 모두 참작하면서 전략적으로 행동방침을 결정한다. 따라서 게임이론은 동태적(動態的)인 성격을 지닌다.

이와 같이 게임이론은 시장에서 경쟁관계를 이루고 있는 기업들이 경영방침을 수립할 때 많이 사용된다. 또한 정부가 시장에 참여하는 경우에도 기업은 정부의 정책의 정책을 미리 짐작하여 시장에서 대응하게 된다. 이러한 게임이론이 이용되는 분야는 국가간의 외교에까지 확장되고 있다.

우리의 경우에도 현실적으로 게임이론이 여러가지 측면에서 퍽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물론 한국적인 특수여건, 즉 국민성, 문화 관습, 사상, 제도 등 여러가지 비경제적 특수요인이 작용, 합리적이고 수학적인 접근을 어렵게 할 수 도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게임이론을 적용, 거기다 특수여건을 가미, 조정하고 변용시킨다면 어느 정도의 바람직한 결론을 도출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게임이론을 다루는 한국경제학자들의 앞으로의 연구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