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설지공/경제경영

가정과 시장에서의 자원배분

가정과 시장에서의 자원배분


(1) 가정에서의 자원배분


인간이 처음 접하는 조직은 가족이다. 그런데 가족 내에서도 자원배분 문제가 존재한다. 수입을 예상하고, 이러한 수입을 가지고 어떻게 효율적으로 쓸 것인가를 정해야 한다. 따라서 아이를 언제 낳을 것인가, 몇 명이나 낳을 것인가, 누가 일을 할 것인가, 아이를 어떻게 교육시킬 것인가 등을 정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정할 때 비용과 이익을 고려하여, 적은 비용으로 가장 큰 효과를 얻는 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즉, 이러한 문제를 결정할 때 경제적 고려를 한다. 그러나 가족이란 관계는 장기적으로 유지되는 관계이다. 관계가 장기적으로 유지되는 사회, 대면사회(face-face society)에서는 개인간의 관계가 자원배분에 따른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게된다.

장기적인 관계는 단기적인 관계보다 효율적이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신뢰라고 할 수 있다. 신뢰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사랑이나 협동정신 등이 존재해야 한다. 단기적인 관계라 한다면 이것이 필요없다. 왜냐하면 상대방의 신뢰와 무관하게 상대방과의 거래에 따른 문제를 검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기적인 관계는 검사비용이나 흥정비용, 또는 탐색비용이 든다. 장기적 관계를 이를 줄일 수 있다.

가족 내에서의 인간의 행위는 장기적으로 보면 경제적 이해가 이들간의 관계에 영향을 줄 것이다. 그리고 단기적인 경제적 이해관계에 따라 결정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가족 내에서 아이들에 대한 교육은 장기적으로 보면, 교육에 대한 투자수익을 고려하게 된다. 따라서 수입이 부족할 경우 어떤 아이를 가르킬 것인가는 투자수익이 높은 아이를 선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학습효과가 큰 아이에 대한 교육을 먼저 고려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리고 교육을 받은 아이는 가족에 대한 부양의무를 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예상은 장기적 관계가 유지되는 한 합리적인다. 따라서 이러한 선택을 하는 과정에 사랑과 설득, 그리고 동의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2) 시장에서의 지원배분


시장에서의 거래는 기본적으로 단기적 관계이다. 이러한 관계에는 검사비용이나 흥정비용, 또는 탐색비용이 든다. 이러한 비용을 줄이면서 사회적 이익을 높이는 방법은 가족간의 관계와 다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낯 모르는 사람들로 이루어진 익명사회(anonymous)에서 거래는 시장거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장거래는 무계획성, 비인간성, 경쟁 등에 의하여 특징지워진다.

무계획성은 미리 거래할 사람을 정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에서 거래에 동의한 사람끼리의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비인간성은 그 사람과의 장기적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단기적인 이익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거래가 그 개인의 의도나 삶과 무관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경쟁이란 개인의 인격과 무관하게 거래의 조건에 맞는 사람은 누구나 거래에 참여하기 때문에 나타난다. 이러한 시장거래 방식은 낯 선 사람간의 발생하는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각종 규칙이 자생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가정에서의 자원배분 방식에 익숙한 사람이 시장을 바라보면 이해하기가 어렵고 시장에 대하여 적대적인 감정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사고가 반 시장 경제적 사고와 사회주의적 경향을 갖게 한다. 인간은 정서적으로 사회주의적 성향을 갖게 되는 면이 있다.

시장거래도 거래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신입사원을 고용한 다음에 퇴직할 때까지 장기적 관계가 유지된다. 그런데 장기적 관계가 유지될 경우 이익조직의 경우 발생하는 문제는 기회주의적 행위(opportunistic behavior)이다.

또한 가족 내에서의 관계처럼 계획에 위해 사회의 자원배분을 계획에 의하여 결정하고자는 노력도 있다. 하지만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개인의 의도와 목적, 바라는 바가 다르고, 이것을 안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3) 사례연구


i) 기업이 필요한 물품을 조달하고자 할 때, 자신이 만드는 것이 바람직한가. 아니면 시장에서 구입하는 것이 나을까. 아니면 하청관계를 통해 조달하는 것이 나을까.


ii) 회사의 사원을 고용할 때, 임시직으로 고용하는 것이 나을까, 정규직으로 고용한 것이 나을까.


iii) 택시 운전사를 고용할 때 월급제로 고용할 것인가, 지입금제를 이용하는 것이 나을까.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의 인간관  (0) 2001.03.14
사회 정의와 경제적 효율성  (0) 2001.03.14
기업의 지배구조  (0) 2001.03.14
대리인 문제  (0) 2001.03.14
한국기업과 지배구조  (0) 2001.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