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설지공/경제경영

<제3강> 공급 및 시장의 가격결정

<제3강> 공급 및 시장의 가격결정

Ⅱ. 공 급(供 給)

[1] 공급의 개념

1) 공급(supply) : 경제주체인 기업이 일정기간 동안 재화 및 용역을 각각의 가격수준에 대응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계획 → 공급량(그러한 계획량)

1. 유량(flow)의 개념

2. 사전적 극대 개념

3. 판매력이 뒷받침된 상품의 수량

4. 공급과 공급량

1) 공급량 : 각 가격수준에 대응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수량 → 공급곡선상의 어느 한 점으로 표현

2) 공급 : 각 가격수준에 대응하는 공급량과의 전체적인 관계 → 공급곡선 전체로 표현

5. 개별수요와 시장수요

1) 개별공급 : 개별 기업의 공급곡선

2) 시장공급 : 개별공급의 수평합

2) 공급함수 : 공급결정요인과 공급의 관계를 함수로 표시한 궤적

1. 공급결정요인 : 당해 재화의 가격(P), 타재화의 가격(Pt), 생산요소의 가격(F), 생산기술(T), 공급자의 수(N), 장래 경기의 전망(E), 기업의 목표(G), 기타 기후나 기업간의 경쟁 등

2. 공급의 법칙

1) 협의의 공급함수 : S = f(P)

2) 가격 이외의 여타 변수는 현재의 상태에서 일정하다고 가정(Ceteris paribus) → 부분균형분석(A.Marshall)

3) 공급의 법칙 : 가격과 공급량간의 정(+)의 관계

가)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은 증가하고

나)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량은 감소한다.

다) 공급량이 증가하면 가격이 상승하거나, 공급량이 감소하면 가격이 하락하지는 않는다.

3. 공급의 법칙이 성립하는 이유 : 상품의 가격이 상승 → 생산자의 수익성 향상 → 기존 생산자들의 생산량 증대 → 그 산업에서의 높은 수익성을 보고 새로운 기업이 생산에 참여하기 때문에

4. 공급의 법칙의 예외

예] (매점)매석 : 공급자가 시장의 재화를 사재기하는 경우

예] 노동의 공급곡선 : 임금의 상승시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를 능가하는 경우에 나타남

4. 공급곡선

1) 공급의 법칙에 의한 당해 재화의 가격과 수요량의 조합을 연결한 궤적

2) 공급곡선의 기울기는 우상향(가격의 증가함수)한다.

3) 기업의 한계비용곡선과 일치한다.

가격(원/자루) 공급량(자루/월)


350 670

300 640

250 580

200 500

150 400

100 270

(가격과 수량은 하나의 예시임)







[2] 공급량의 변화와 공급의 변화





1) 공급량의 변화 : 동일한 공급곡선 상에서의 공급점의 이동 → 공급곡선은 불변

1. 공급곡선상의 변화(movement along the supply curve)

2. 요인 : 당해 재화 가격의 변화

2) 공급의 변화 : 당해 상품가격 이외의 다른 요인의 변동에 의해서 발생되는 공급곡선 자체의 이동.

1. 공급곡선 자체의 이동(shift of supply curve)

2. 공급의 변화 요인


공급량의 감소
공급량의 증가
공급의 감소
공급의 증가

양 태
동일한 공급 곡선상 수요점의 이동
공급 곡선 자체의
좌측 이동
수요 곡선 자체의
우측 이동

요 인
당해재화가격의 상승
당해재화가격의
하락
생산요소가격의 상승

임금의 상승

생산 기술의 퇴보

부존 자원의 감소

공급자수의 감소

비관적 장래 전망
생산요소가격의 하락

임금의 하락

생산 기술의 향상

부존 자원의 증가

매출극대화의 추구

경재의 치열화

전제 조건
여타 조건은 현재의 상태에서
일정·불변이라고 가정
당해 재화 가격은 불변이라고 가정






Ⅲ. 수요·공급에 의한 가격결정



[1] 시장의 균형가격 결정

1. 초과수요 : 수요량 > 공급량 → 물자의 부족 → 가격 상승

2. 초과공급 : 수요량 < 공급량 → 물자의 풍부 → 가격 하락

3. 균형 : 수요량 = 공급량 → 초과수요나 초과공급이 없는 수준에서 결정







가격(원/자루)
수요량
공급량
초과 공급·수요

350
70
114
초과 공급

300
74
108
초과 공급

250
80
100
초과 공급

200
90
90
0

150
108
76
초과 수요

100
135
60
초과 수요



4. 가격의 기능 → 경제문제의 해결

1) 가격의 자동조절기능(가격의 매개변수적 기능 = A.Smith의 "보이지 않는 손") : 가격은 소비자와 생산자의 합리적 의사결정(선택)에 매개적 역할을 하며 소비자의 소비활동과 생산자의 생산활동을 자동으로 조절해 준다.

2) 자원의 효율적 배분 : 가격의 자동조절기능에 의해 완전경쟁시장의 균형점에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 달성된다.

3) 소득배분의 기능 : 가격은 또한 소득분배의 기능이 있으나 소득의 공평한 분배는 가치판단이 개입되기 때문에 시장에서 가격기능에 의한 소득의 공평한 분배에는 무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