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설지공/경제경영

<제2강> 수요이론

<제2강> 수요이론
제2장 수요·공급의 이론

Ⅰ. 수요(需要)

[1] 수요의 개념

1) 수요(demand) : 소비의 주체인 소비자가 일정기간 동안에 각각의 가격수준에 대응하여 재화 및 용역을 구매하고자 하는 계획 → 수요량(그러한 계획량)

1. 유량(flow)의 개념 : 일정기간(예: 1주일, 1개월, 1년)을 기준으로 함.

2. 사전적 극대 개념 : 의도된·계획된 최대수량을 말함 → 실제로 구입한 수량은 소비량을이라고 함.

3. 구매력(購買力)이 뒷받침된 상품의 수량 : 시장에서 결정된 가격을 지불하고 구입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 것을 전제로 함. → 구매력이 없는 수요는 경제현상으로써의 의미가 없음.

4. 수요와 수요량

1) 수요량 : 각 가격수준에 대응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수량 → 수요곡선상의 어느 한 점으로 표현

2) 수요 : 각 가격수준에 대응하는 수요량과의 전체적인 관계 → 수요곡선 전체로 표현

5. 개별수요와 시장수요

1) 개별수요 : 개별 가계의 수요곡선

2) 시장수요 : 개별수요의 수평합

2) 수요함수 : 수요결정요인과 수요의 관계를 함수로 표시한 궤적

1. 수요결정요인 : 당해 재화의 가격(P), 타재화의 가격(Pt), 소득(I), 소비자의 수(N), 소비자의 기호·선호(T), 기업의 광고선전(A), 소득분포(Ω), 이자율(r), 유동자산보유비율(M) 등

2. 수요의 법칙

1) 협의의 수요함수 : D = f(P)

2) 가격 이외의 여타 변수는 현재의 상태에서 일정하다고 가정(Ceteris paribus) → 부분균형분석(A.Marshall)

3) 수요의 법칙 : 가격과 수요량간의 역(-)의 관계

가)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은 감소하고

나)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량이 증가한다.

다) 수요량이 증가하면 가격이 하락하거나, 수요량이 감소하면 가격이 상승하지는 않는다.

3. 수요의 법칙이 성립하는 이유

1) 소득효과 : 가격하락시, 동일한 소득으로 더 많은 상품을 구입할 수 있으므로

3) 대체효과 : 가격하락시, 타재화의 가격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해졌으므로 타재화의 소비를 줄이고, 당해 재화의 소비를 증가시키므로

4) 시장수요의 경우 : 새로운 수요자의 시장 진입 때문에

4. 수요의 법칙의 예외

예] 가수요(假需要) : 지금 당장 필요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상승을 예상하여, 가격이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가 증가하는 경우 → 물자부족, 물가상승 예상시에 주로 나타날 수 있다.

예] 기펜재(Giffen's good) : 가격이 하락함에도 불구하고 소비가 감소하는 재화

예] 베블렌효과(과시효과) : 사치품의 경우, 가격 상승시 자신의 부(富)를 과시하기 위하여 소비가 증가하는 경우

4. 수요곡선

1) 수요의 법칙에 의한 당해 재화의 가격과 수요량의 조합을 연결한 궤적

2) 수요곡선의 기울기는 우하향(가격의 감소함수)한다.


가격(원/자루) 수요량(자루/월)

350 20

300 22

250 26

200 32

150 40

100 52

(가격과 수량은 하나의 예시임)







[2] 수요량의 변화와 수요의 변화



1) 수요량의 변화 : 동일한 수요곡선 상에서의 수요점의 이동 → 수요곡선은 불변

1. 수요곡선상의 변화(movement along the demand curve)

2. 요인 : 당해 재화 가격의 변화

2) 수요의 변화 : 당해 상품가격 이외의 다른 요인의 변동에 의해서 발생되는 수요곡선 자체의 이동.

1. 수요곡선 자체의 이동(shift of demand curve)

2. 수요의 변화 요인






수요량의 감소
수요량의 증가
수요의 감소
수요의 증가

양 태
동일한 수요 곡선상 수요점의 이동
수요 곡선 자체의
좌측 이동
수요 곡선 자체의
우측 이동

요 인
당해 재화
가격의 상승
당해 재화
가격의 하락
소득의 감소

기호·선호의 감소

소비자수의 감소

대체재 가격의 하락

보완재 가격의 상승

광고·선전의 감소

분배의 악화
소득의 증가

기호·선호의 증가

소비자수의 증가

대체재 가격의 상승

보완재 가격의 하락

광고·선전의 증가

분배의 개선

전제 조건
여타 조건은 현재의 상태에서 일정·불변이라고 가정
당해 재화 가격은 불변이라고 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