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설지공/경제경영

e-Learning 현황과 전망

자료 다운로드 : e-learning.pdf

자료출처 : 현대경제연구원

내용 요약 : - (e-Learning의 개념) 지식과 성과를 향상시키는 다종 다양한 해결책을 전달할 목적으로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는 것을 의미함

·e-학습에서 'e'가 갖는 기본적 의미는 electronic 또는 세가지 확장(extention)의 의미를 가짐. 즉, 'e'학습은 학습자들에게 학습경험의 확장, 학습기회의 확장, 학습공간의 확장 기회를 제공함

- (e-Learning 국내현황) 21세기 정보사회에서 평생교육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 훈련 체제로서 e-Learning이 부각되었으며, 국내의 경우 1999년 이후 민간차원의 활발한 참여와 함께 정부차원의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양적 확대를 거듭함

·(문제점) '인터넷 통신훈련'제도의 도입은 e-Learning산업의 양적 확대에 기여하였으나 또한 질적 저하를 초래하기도 하였음. 현 국내 e-Learning 교육의 문제점으로는 ① 개발 및 운영의 획일성 ② 콘텐츠의 질 저하 (기존의 면대면 강의의 온라인 전달 수준) ③ 무책임한 자기주도형 학습의 확산과 상호작용성 및 협력학습의 부재 등이 나타남

- (e-Learning 향후전망) 우리나라의 e-Learning 산업은 정부차원의 정책적 지원과 민간차원의 자율적 참여를 통하여 짧은 시간 안에 커다란 양적 성장을 이루어 왔으나 반대로 e-Learning이 기업교육에 가져올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력은 아직 꽃피우지 못한 실정임. 향후, e-Learning의 발전을 위해서는

·첫째, 앞으로의 e-Learning과정은 학습자의 click만을 강조하는 e-book형이나 동영상 강의형에서 탈피하여 시뮬레이션이나 협력적 학습과 같은 보다 '참여적/능동적' 학습환경의 창출이 요구됨.

·둘째, 개별학습자의 온라인공간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지원, 독려, 안내할 온라인 Tutoring 및 Coaching의 활성화가 요구됨

·셋째, e-Learning을 기존의 전통적 훈련방식을 대체하는 개념으로 바라보기보다는 전통적 면대면 훈련방식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e-Learning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조합한 혼합형 학습전략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