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소비 불균형 커지는 중산층
고소득층의 경우 소득점유율은 높아지고 있으나 소비지출 점유율은 하락하고 있다. 반면 중산층의 경우 소득점유율은 줄어들면서 소비지출점유율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고소득층의 재정상태는 건전해지는 반면 중산층 이하 계층의 재정상태는 상대적으로 취약해지고 있는 것이다.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계층별 소득격차가 늘어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소득격차를 이야기 할 때 흔히 지니계수나 소득배율(고소득층소득/저소득층소득)이란 지표를 사용하는데 이들 수치가 높아질수록 소득불평등도가 커지고 있다고 평가한다.
같은 방식으로 계층별 소비격차도 구할 수 있다. 지니계수나 소득배율을 계산할 때 ‘소득’ 대신 ‘소비’라는 항목을 넣으면 소비지니계수와 소비지출배율을 구할 수 있는 것이다.
어떤 의미에서는 소득격차보다 계층별 소비격차가 경제·사회적으로 더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경제성장의 궁극적인 목적은 국민들의 후생을 극대화하는데 있다. 여기서 후생이란 보통 소비수준을 말하기 때문에 계층별 소비격차란 바로 계층별 후생수준의 격차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득격차보다는 소비격차가 사람들이 느끼는 상대적인 빈곤감이나 불평등 정도를 더 정확히 표현한다고 할 수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도 계층별 소비격차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계층별 소비격차가 커질수록 시장이 양극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대로 소비격차가 줄어들수록 중산층을 중시하는 마케팅 전략이 주효하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주로 소비 지니계수를 이용하여 계층별 소비격차 상태를 알아보고 시사점을 찾아 보고자 한다.
소비격차 꾸준히 증가 추세
소비 지니계수는 0에서 1의 값을 가진다. 0에 가까울수록 계층별 소비격차가 줄어드는 것을 의미하고 1에 가까울수록 소비격차가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90년대 이후 우리나라 소비지니계수를 살펴본 결과 외환위기 이전인 1991∼97년중에는 평균 0.196이었으나 외환위기 이후인 1999∼2001년중에는 0.206으로 높아졌다. 연도별 추이를 보면 1989년 0.227에서 1995년중 0.187까지 계속 하락추세를 보였으나 IMF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소비 격차는 꾸준히 상승해 2000년에는 0.208까지 높아졌다(<그림 1> 참조). 지난해는 소비 지니계수가 2000년보다 소폭 낮은 0.205를 기록했지만 1990년대 중반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최상위 20%와 최하위 20%의 소비지출 배율(소비지출 5분위 배율)도 소비 지니계수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중 소득수준 상위 20%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281만원으로 하위 20%의 소비지출 98만원보다 2.87배 많은 수준이었는데 이 소비지출 배율은 1995년 2.59배를 기점으로 매년 꾸준히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그림 2>참조).
소득격차 확대폭에 못미치는 소비격차폭
이처럼 소비격차가 꾸준히 확대되고 있는 것은 소득격차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소득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외환위기 이전 0.28 내외에서 지난해 0.319로 상승했고, 외환위기 이전 4.4∼4.6배였던 소득 5분위 배율(상위 20%의 소득/하위 20%의 소득)도 5.36배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소비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이 바로 소득이기 때문에 소득격차가 커질수록 소비격차도 커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흥미로운 점은 소비격차가 확대되는 추세인 것은 사실이지만 소득격차가 확대되는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그 정도가 크지 않다는 것이다. <그림 1>에서 나타나듯이 외환위기 이후 소득격차(소득 지니계수)는 상당히 가파르게 상승한 반면 소비격차(소비지니계수)는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소득지니계수와 소비지니계수의 격차 역시 90년대 이후 외환위기 이전까지는 0.07∼0.09 수준이었으나 외환위기 이후에는 이 수치가 0.11∼0.12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소득은 고소득층으로 집중, 소비는 중산층이 주도
이같은 결과로 다음과 같은 예상을 할 수 있다. 첫째, 외환위기 전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소득은 고소득층으로 집중되고 있으나 이들 계층의 소비는 생각보다 별로 늘어나지 않았다는 점이다. 둘째, 중산층 이하 계층의 소득비중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있으나 이들 계층의 소비는 줄어들지 않거나 오히려 늘어났을 것이라는 점이다.
실제 1990년대 이후 기간을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 두 기간으로 나누어 계층별 소득점유율(전체 소득에서 특정계층의 소득이 차지하는 비중)과 소비지출점유율을 비교해 보았다. 예상대로 소득점유율의 경우 최상위 20%만 점유율이 늘어났고 나머지 계층의 소득점유율은 모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상위 20%이상 고소득층의 소득점유율은 1991∼97년중 평균 37.6%에서 1999∼2001년중 40.2%로 2.6%p 높아졌다(<표 1> 참조). 반면 중산층(중위 60%)의 소득점유율은 53.9%에서 52.3%로 1.6%p나 하락했고, 하위 20%의 저소득층의 소득점유율도 8.4%에서 7.5%로 0.9%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봉제, 성과급 확대, 스톡옵션 등 능력주의 신인사제도 도입으로 임금의 연공서열·경력파괴 현상이 확산되면서 고임금 계층이 빠르게 증가한 반면, 임시직, 일용직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은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낮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반면 계층별 소비지출점유율은 소득점유율과는 약간 다른 결과가 나오고 있다. 고소득층(상위 20%)의 소비지출점유율은 외환위기 이전이나 이후 모두 32.2%로 변화가 없었다. 반면 저소득층(하위 20%)의 소비지출 점유율은 1991∼97년중 평균 11.8%에서 1999∼2001년중 11.2%로 0.6%p 하락하였다.
눈길을 끄는 것은 중산층(중위 60%)의 소비행태이다. 중산층의 소비지출점유율은 1991∼97년중 56.1%이었는데 1999∼2001년중에는 56.5%로 0.4%p나 높아졌다. 같은 기간 중산층의 소득점유율이 떨어졌는데도 소비지출 점유율이 늘어난 것은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즉 고소득층과 저소득층간에는 소득양극화에 따라 소비양극화가 진행중이지만, 고소득층과 중산층의 경우는 소득격차 확대에도 불구하고 소비격차는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산층 80년대 이후 소비지출 비중 지속적 증가
고소득층과 중산층간 소득격차가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격차는 오히려 줄어들었다면 이는 계층별 평균 소비성향이 과거와 다른 추세가 형성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소득 계층별로 소비성향을 살펴 보면 외환위기 이후 고소득층과 중산층 이하 계층의 소비성향은 뚜렷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고소득층의 경우 소득점유율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평균소비성향은 1991∼97년중 62.4%에서 1999∼2001년중 61.7%로 오히려 0.7%p 낮아졌다(<표 1> 참조). 이에 따라 1999∼2001년중 고소득층의 소비지출 점유율은 90년대 초반의 34% 내외는 물론 1996년의 32.6%를 하회하는 32.2%에 그치고 있다(2001년의 경우 32.1%로 더 하락).
반면 중산층은 소득점유율이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지출은 꾸준히 늘어 중산층의 평균소비성향은 1991∼97년중 74.0%에서 1999∼2001년중 80.9%로 6.9%p나 높아졌다. 원래 중산층은 80년대 후반부터 소득점유율이 상승함에 따라 소비지출 점유율도 동반상승하며 자연스럽게 소비의 주도세력으로 부상한 계층이다. 그런데 1997년 54.5%였던 중산층의 소득점유율이 지난해 52.2%까지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와중에도 소비지출 점유율은 꾸준히 증가하여 지난해에는 역대 가장 높은 56.8%의 점유율까지 높아진 것이다(<그림 3> 참조).
저소득층은 소득와 소비지출 점유율 모두 하락하였으나 상대적으로 소득 점유율이 더 많이 떨어져 평균소비성향이 97.7%에서 111.2%로 높아졌다.
중산층 재정상태 악화 가능성
보통 외환위기 이후 ‘중산층 붕괴’라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중산층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었을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었다. 그렇지만 앞에서 살펴 보았듯이 소득의 경우에는 이 말이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지만 소비에 있어서는 중산층의 비중은 계속 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난해 우리 경제는 미국경제 침체, 테러사태, IT버블 붕괴 등 최악의 조건에서 3.0%라는 성장률을 달성하였다. 여기에는 수출과 투자가 급속도로 줄어드는 가운데 내수소비 특히 중산층의 소비가 받쳐주었기 때문이다. 중산층의 소비가 경기의 버팀목 역할을 해주는 바람에 경기회복의 발판이 마련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렇지만 이같은 소비주도의 성장이 상당부분 중산층 이하 계층의 재정상태 악화를 담보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고소득층보다는 중산층이 주로 소비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은 결국 고소득층의 저축률은 상승하고 중산층 이하 계층의 저축률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고소득층의 재정상태는 점점 건전해지고 있는 반면 중산층 이하 계층의 재정상태는 상대적으로 점점 취약해지고 있는 것이다.
소득이 늘어난 만큼 소비도 늘어난다면 별 문제가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소득점유율이 줄어들었는데도 소비점유율이 늘어났다는 것은 결국 소비의 상당부분이 빚에 의존하여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최근 사회이슈가 되고 있는 가계부채 문제도 결국 중산층 이하 계층의 소득-소비 불균형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지나친 소득-소비 불균형은 빈부격차 확대, 개인파산 증가, 금융기관 건전성 악화 등 부작용을 동반하는 만큼 지금부터 적절한 대응책을 찾아야 할 것이다. 다행히 올들어 경기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데 이같은 경기확장세가 계속 이어진다면 중산층의 소득도 늘어나고 그동안 나타났던 소득-소비 불균형 현상도 지금보다는 완화될 전망이다.
LG경제연구원
고소득층의 경우 소득점유율은 높아지고 있으나 소비지출 점유율은 하락하고 있다. 반면 중산층의 경우 소득점유율은 줄어들면서 소비지출점유율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고소득층의 재정상태는 건전해지는 반면 중산층 이하 계층의 재정상태는 상대적으로 취약해지고 있는 것이다.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계층별 소득격차가 늘어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소득격차를 이야기 할 때 흔히 지니계수나 소득배율(고소득층소득/저소득층소득)이란 지표를 사용하는데 이들 수치가 높아질수록 소득불평등도가 커지고 있다고 평가한다.
같은 방식으로 계층별 소비격차도 구할 수 있다. 지니계수나 소득배율을 계산할 때 ‘소득’ 대신 ‘소비’라는 항목을 넣으면 소비지니계수와 소비지출배율을 구할 수 있는 것이다.
어떤 의미에서는 소득격차보다 계층별 소비격차가 경제·사회적으로 더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경제성장의 궁극적인 목적은 국민들의 후생을 극대화하는데 있다. 여기서 후생이란 보통 소비수준을 말하기 때문에 계층별 소비격차란 바로 계층별 후생수준의 격차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득격차보다는 소비격차가 사람들이 느끼는 상대적인 빈곤감이나 불평등 정도를 더 정확히 표현한다고 할 수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도 계층별 소비격차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계층별 소비격차가 커질수록 시장이 양극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대로 소비격차가 줄어들수록 중산층을 중시하는 마케팅 전략이 주효하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주로 소비 지니계수를 이용하여 계층별 소비격차 상태를 알아보고 시사점을 찾아 보고자 한다.
소비격차 꾸준히 증가 추세
소비 지니계수는 0에서 1의 값을 가진다. 0에 가까울수록 계층별 소비격차가 줄어드는 것을 의미하고 1에 가까울수록 소비격차가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90년대 이후 우리나라 소비지니계수를 살펴본 결과 외환위기 이전인 1991∼97년중에는 평균 0.196이었으나 외환위기 이후인 1999∼2001년중에는 0.206으로 높아졌다. 연도별 추이를 보면 1989년 0.227에서 1995년중 0.187까지 계속 하락추세를 보였으나 IMF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소비 격차는 꾸준히 상승해 2000년에는 0.208까지 높아졌다(<그림 1> 참조). 지난해는 소비 지니계수가 2000년보다 소폭 낮은 0.205를 기록했지만 1990년대 중반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최상위 20%와 최하위 20%의 소비지출 배율(소비지출 5분위 배율)도 소비 지니계수와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중 소득수준 상위 20%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281만원으로 하위 20%의 소비지출 98만원보다 2.87배 많은 수준이었는데 이 소비지출 배율은 1995년 2.59배를 기점으로 매년 꾸준히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그림 2>참조).
소득격차 확대폭에 못미치는 소비격차폭
이처럼 소비격차가 꾸준히 확대되고 있는 것은 소득격차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소득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외환위기 이전 0.28 내외에서 지난해 0.319로 상승했고, 외환위기 이전 4.4∼4.6배였던 소득 5분위 배율(상위 20%의 소득/하위 20%의 소득)도 5.36배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소비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이 바로 소득이기 때문에 소득격차가 커질수록 소비격차도 커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흥미로운 점은 소비격차가 확대되는 추세인 것은 사실이지만 소득격차가 확대되는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그 정도가 크지 않다는 것이다. <그림 1>에서 나타나듯이 외환위기 이후 소득격차(소득 지니계수)는 상당히 가파르게 상승한 반면 소비격차(소비지니계수)는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소득지니계수와 소비지니계수의 격차 역시 90년대 이후 외환위기 이전까지는 0.07∼0.09 수준이었으나 외환위기 이후에는 이 수치가 0.11∼0.12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소득은 고소득층으로 집중, 소비는 중산층이 주도
이같은 결과로 다음과 같은 예상을 할 수 있다. 첫째, 외환위기 전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소득은 고소득층으로 집중되고 있으나 이들 계층의 소비는 생각보다 별로 늘어나지 않았다는 점이다. 둘째, 중산층 이하 계층의 소득비중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있으나 이들 계층의 소비는 줄어들지 않거나 오히려 늘어났을 것이라는 점이다.
실제 1990년대 이후 기간을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 두 기간으로 나누어 계층별 소득점유율(전체 소득에서 특정계층의 소득이 차지하는 비중)과 소비지출점유율을 비교해 보았다. 예상대로 소득점유율의 경우 최상위 20%만 점유율이 늘어났고 나머지 계층의 소득점유율은 모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상위 20%이상 고소득층의 소득점유율은 1991∼97년중 평균 37.6%에서 1999∼2001년중 40.2%로 2.6%p 높아졌다(<표 1> 참조). 반면 중산층(중위 60%)의 소득점유율은 53.9%에서 52.3%로 1.6%p나 하락했고, 하위 20%의 저소득층의 소득점유율도 8.4%에서 7.5%로 0.9%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봉제, 성과급 확대, 스톡옵션 등 능력주의 신인사제도 도입으로 임금의 연공서열·경력파괴 현상이 확산되면서 고임금 계층이 빠르게 증가한 반면, 임시직, 일용직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은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낮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반면 계층별 소비지출점유율은 소득점유율과는 약간 다른 결과가 나오고 있다. 고소득층(상위 20%)의 소비지출점유율은 외환위기 이전이나 이후 모두 32.2%로 변화가 없었다. 반면 저소득층(하위 20%)의 소비지출 점유율은 1991∼97년중 평균 11.8%에서 1999∼2001년중 11.2%로 0.6%p 하락하였다.
눈길을 끄는 것은 중산층(중위 60%)의 소비행태이다. 중산층의 소비지출점유율은 1991∼97년중 56.1%이었는데 1999∼2001년중에는 56.5%로 0.4%p나 높아졌다. 같은 기간 중산층의 소득점유율이 떨어졌는데도 소비지출 점유율이 늘어난 것은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즉 고소득층과 저소득층간에는 소득양극화에 따라 소비양극화가 진행중이지만, 고소득층과 중산층의 경우는 소득격차 확대에도 불구하고 소비격차는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산층 80년대 이후 소비지출 비중 지속적 증가
고소득층과 중산층간 소득격차가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격차는 오히려 줄어들었다면 이는 계층별 평균 소비성향이 과거와 다른 추세가 형성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소득 계층별로 소비성향을 살펴 보면 외환위기 이후 고소득층과 중산층 이하 계층의 소비성향은 뚜렷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고소득층의 경우 소득점유율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평균소비성향은 1991∼97년중 62.4%에서 1999∼2001년중 61.7%로 오히려 0.7%p 낮아졌다(<표 1> 참조). 이에 따라 1999∼2001년중 고소득층의 소비지출 점유율은 90년대 초반의 34% 내외는 물론 1996년의 32.6%를 하회하는 32.2%에 그치고 있다(2001년의 경우 32.1%로 더 하락).
반면 중산층은 소득점유율이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지출은 꾸준히 늘어 중산층의 평균소비성향은 1991∼97년중 74.0%에서 1999∼2001년중 80.9%로 6.9%p나 높아졌다. 원래 중산층은 80년대 후반부터 소득점유율이 상승함에 따라 소비지출 점유율도 동반상승하며 자연스럽게 소비의 주도세력으로 부상한 계층이다. 그런데 1997년 54.5%였던 중산층의 소득점유율이 지난해 52.2%까지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와중에도 소비지출 점유율은 꾸준히 증가하여 지난해에는 역대 가장 높은 56.8%의 점유율까지 높아진 것이다(<그림 3> 참조).
저소득층은 소득와 소비지출 점유율 모두 하락하였으나 상대적으로 소득 점유율이 더 많이 떨어져 평균소비성향이 97.7%에서 111.2%로 높아졌다.
중산층 재정상태 악화 가능성
보통 외환위기 이후 ‘중산층 붕괴’라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중산층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었을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었다. 그렇지만 앞에서 살펴 보았듯이 소득의 경우에는 이 말이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지만 소비에 있어서는 중산층의 비중은 계속 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난해 우리 경제는 미국경제 침체, 테러사태, IT버블 붕괴 등 최악의 조건에서 3.0%라는 성장률을 달성하였다. 여기에는 수출과 투자가 급속도로 줄어드는 가운데 내수소비 특히 중산층의 소비가 받쳐주었기 때문이다. 중산층의 소비가 경기의 버팀목 역할을 해주는 바람에 경기회복의 발판이 마련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렇지만 이같은 소비주도의 성장이 상당부분 중산층 이하 계층의 재정상태 악화를 담보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고소득층보다는 중산층이 주로 소비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은 결국 고소득층의 저축률은 상승하고 중산층 이하 계층의 저축률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고소득층의 재정상태는 점점 건전해지고 있는 반면 중산층 이하 계층의 재정상태는 상대적으로 점점 취약해지고 있는 것이다.
소득이 늘어난 만큼 소비도 늘어난다면 별 문제가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소득점유율이 줄어들었는데도 소비점유율이 늘어났다는 것은 결국 소비의 상당부분이 빚에 의존하여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최근 사회이슈가 되고 있는 가계부채 문제도 결국 중산층 이하 계층의 소득-소비 불균형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지나친 소득-소비 불균형은 빈부격차 확대, 개인파산 증가, 금융기관 건전성 악화 등 부작용을 동반하는 만큼 지금부터 적절한 대응책을 찾아야 할 것이다. 다행히 올들어 경기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데 이같은 경기확장세가 계속 이어진다면 중산층의 소득도 늘어나고 그동안 나타났던 소득-소비 불균형 현상도 지금보다는 완화될 전망이다.
LG경제연구원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경제연구원]달러 어디로 갈것인가? (0) | 2003.07.25 |
---|---|
한국에서의 기술이전과 정보의 역할 (0) | 2003.07.25 |
제조업 공동화와 기업 전략 (0) | 2003.07.25 |
버블과 통화정책 (0) | 2003.07.24 |
금리로 들여다 본 주가 (0) | 2003.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