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에선 쉽게 찾아 볼 수 없는 우리나라 언론기관의 특징 중 하나가 전국민을 상대로한 계몽캠페인이나 의식전환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의 제한된 관찰이기는 해도 외국언론이 국가적 차원의 의식개혁운동이나 시민운동 캠페인을 담당하는 것을 본 기억이 없다.
아마 이런 전통은 우리나라 언론이 조선말기 애국운동과 일제시대 독립운동에 뿌리를 두고있고, 정부수립이래 반독재 저항운동에 앞장섰던 역사적 경험 때문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어느 정도 우리 국민들도 우리나라 언론으로부터 독립지사나 민주투사와 같은 역할을 기대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우리나라가 가뭄이나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이나, 북한의 기아사태, 또 경제적 국난을 당했을 때, 우리 언론기관들이 앞장서서 의연금 모금이나 금모으기 운동과 같은 캠페인을 통해 사실상의 국가동원기능과 국론통일기능을 담당해 왔던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언론의 이러한 지사적 전통은 우리나라의 언론인들로 하여금 하나의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전문성 개발을 소홀하게 하는 부정적 효과도 나타낼 수 있다. 사실을 보도하고 진실을 규명해야하는 프로페셔널로서의 역할과 독립투사와 같은 기개와 열정 사이에서, IMF 경제위기와 같이 외세가 개입되고 국민정서가 격앙되었을 때 우리나라 언론이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시각 만을 가지고 경제문제를 보도하기는 매우 어려웠을 것이다.
그럼에도 IMF 경제위기 이후 우리나라 방송과 언론매체들이 보인 경제뉴스 보도 경향은 전반적으로 전문성과 성숙성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90년대 초에 UR 협상타결과 쌀 개방을 앞두고 보인 우리 언론의 국수주의적 보도경향과 국제경제 상황에 대한 이해 부족과 비교해 볼 때, 비교적 짧은 기간동안에 상당한 수준의 국제화와 전문화를 이룬 것으로 느껴진다.
그러나, 아직도 간간이 폐쇄적 국수주의 정서와 평등주의, 단체주의적 시각이 일부 보도에서 발견되는 것도 부인할 수 없다. 특히 아직도 애국지사적인 의협심으로 사실의 정확한 보도보다는 자극적이고 여론영합적인 보도가 발견된다.
좋은 예가 우리 사회의 소비행태에 관련된 보도 경향이다. 매우 예외적이고 희귀한 고가품의 가격을 소개한 뒤 이런 물건을 사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다거나, 유흥가에 잠입하여 술마시는 장면을 몰래 촬영한 뒤 여기선 하루밤 술값이 얼마라고 한다든지, 붐비는 공항 출국장이나 붐비는 스키장을 보이면서 아직도 정신 못차린 사람들이 있다는 식의 보도가 그것이다. 사람마다 소득과 취향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소비행위 자체는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다. 따라서, 특정 소비 행위가 불법행위가 아닌한, 비싼 물건을 구입했다든가, 남들이 볼 때 쓸데 없는 데 돈을 썼다고 해서 언론이 앞장서서 비난하거나 절약을 강요할 수는 없는 문제다.
특히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고 해서, 땅을 산 사촌이 나쁜 사람이고 배아파 하는 당신은 당연하다는 논리는 결코 건전한 정서가 아니다. 행여 우리 언론이 이런 불건전한 정서를 부추기고 있지 않은지 살펴 보아야 한다.
일부의 과소비 행태와 그러한 소비가 초래하는 위화감에 초점을 맞춘 보도들은 아직도 우리언론이 단체주의적 성향과 지사적인 의협심을 가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캠페인과 보도기능은 구분되어야 한다.
또한 언론과 방송에서 경제관련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 전문성과 균형 잡힌 시각이 필요하다. 정치문제나 사회문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문제는 그 배경과 효과, 그에 대한 처방이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허다하다. 예를 들어 매점매석이 과연 나쁜 것인지, 과당경쟁이 과연 존재하는지, 투자와 투기의 구분이 가능한지 등에 대해 언론과 방송보도에서는 너무 쉽게 결론을 내리고 있지만, 경제학에서는 아직 결론이 나지 않은 사안들이다.
특히 경제문제를 보도하면서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를 요구하는 식의 보도는 때로는 위험하기 까지 하다. 왜냐하면, 많은 경우 정부의 개입이 바로 문제의 원인이거나, 아니면 정부의 개입으로 인해 문제가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 투기나 전세값 상승이 왜 발생했겠는가?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이 왜 이렇게 되었겠는가?
모든 문제를 정부의 책임으로 돌리는 언론의 이러한 경향이 여론의 눈치를 살필 수밖에 없는 정부의 정책담당자들로 하여금 졸속 정책을 양산하고, 전시행정에 몰두하게 만드는 것이다. 때로는 언론이 과감하게 정부는 이 문제에서 손을 떼라고 요구하는 것도 용기이고 전문성인 것이다.
앞으로 MBC가 경제뉴스를 다룸에 있어서 국민정서와 시청율에 신경 쓰기 보다는, 전문성과 보다 균형잡힌 시각을 가지고 건전한 여론과 올바른 정책의 형성에 기여하게 되기 기대한다.
아마 이런 전통은 우리나라 언론이 조선말기 애국운동과 일제시대 독립운동에 뿌리를 두고있고, 정부수립이래 반독재 저항운동에 앞장섰던 역사적 경험 때문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어느 정도 우리 국민들도 우리나라 언론으로부터 독립지사나 민주투사와 같은 역할을 기대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우리나라가 가뭄이나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이나, 북한의 기아사태, 또 경제적 국난을 당했을 때, 우리 언론기관들이 앞장서서 의연금 모금이나 금모으기 운동과 같은 캠페인을 통해 사실상의 국가동원기능과 국론통일기능을 담당해 왔던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언론의 이러한 지사적 전통은 우리나라의 언론인들로 하여금 하나의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전문성 개발을 소홀하게 하는 부정적 효과도 나타낼 수 있다. 사실을 보도하고 진실을 규명해야하는 프로페셔널로서의 역할과 독립투사와 같은 기개와 열정 사이에서, IMF 경제위기와 같이 외세가 개입되고 국민정서가 격앙되었을 때 우리나라 언론이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시각 만을 가지고 경제문제를 보도하기는 매우 어려웠을 것이다.
그럼에도 IMF 경제위기 이후 우리나라 방송과 언론매체들이 보인 경제뉴스 보도 경향은 전반적으로 전문성과 성숙성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90년대 초에 UR 협상타결과 쌀 개방을 앞두고 보인 우리 언론의 국수주의적 보도경향과 국제경제 상황에 대한 이해 부족과 비교해 볼 때, 비교적 짧은 기간동안에 상당한 수준의 국제화와 전문화를 이룬 것으로 느껴진다.
그러나, 아직도 간간이 폐쇄적 국수주의 정서와 평등주의, 단체주의적 시각이 일부 보도에서 발견되는 것도 부인할 수 없다. 특히 아직도 애국지사적인 의협심으로 사실의 정확한 보도보다는 자극적이고 여론영합적인 보도가 발견된다.
좋은 예가 우리 사회의 소비행태에 관련된 보도 경향이다. 매우 예외적이고 희귀한 고가품의 가격을 소개한 뒤 이런 물건을 사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다거나, 유흥가에 잠입하여 술마시는 장면을 몰래 촬영한 뒤 여기선 하루밤 술값이 얼마라고 한다든지, 붐비는 공항 출국장이나 붐비는 스키장을 보이면서 아직도 정신 못차린 사람들이 있다는 식의 보도가 그것이다. 사람마다 소득과 취향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소비행위 자체는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다. 따라서, 특정 소비 행위가 불법행위가 아닌한, 비싼 물건을 구입했다든가, 남들이 볼 때 쓸데 없는 데 돈을 썼다고 해서 언론이 앞장서서 비난하거나 절약을 강요할 수는 없는 문제다.
특히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고 해서, 땅을 산 사촌이 나쁜 사람이고 배아파 하는 당신은 당연하다는 논리는 결코 건전한 정서가 아니다. 행여 우리 언론이 이런 불건전한 정서를 부추기고 있지 않은지 살펴 보아야 한다.
일부의 과소비 행태와 그러한 소비가 초래하는 위화감에 초점을 맞춘 보도들은 아직도 우리언론이 단체주의적 성향과 지사적인 의협심을 가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캠페인과 보도기능은 구분되어야 한다.
또한 언론과 방송에서 경제관련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 전문성과 균형 잡힌 시각이 필요하다. 정치문제나 사회문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문제는 그 배경과 효과, 그에 대한 처방이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허다하다. 예를 들어 매점매석이 과연 나쁜 것인지, 과당경쟁이 과연 존재하는지, 투자와 투기의 구분이 가능한지 등에 대해 언론과 방송보도에서는 너무 쉽게 결론을 내리고 있지만, 경제학에서는 아직 결론이 나지 않은 사안들이다.
특히 경제문제를 보도하면서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를 요구하는 식의 보도는 때로는 위험하기 까지 하다. 왜냐하면, 많은 경우 정부의 개입이 바로 문제의 원인이거나, 아니면 정부의 개입으로 인해 문제가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 투기나 전세값 상승이 왜 발생했겠는가?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이 왜 이렇게 되었겠는가?
모든 문제를 정부의 책임으로 돌리는 언론의 이러한 경향이 여론의 눈치를 살필 수밖에 없는 정부의 정책담당자들로 하여금 졸속 정책을 양산하고, 전시행정에 몰두하게 만드는 것이다. 때로는 언론이 과감하게 정부는 이 문제에서 손을 떼라고 요구하는 것도 용기이고 전문성인 것이다.
앞으로 MBC가 경제뉴스를 다룸에 있어서 국민정서와 시청율에 신경 쓰기 보다는, 전문성과 보다 균형잡힌 시각을 가지고 건전한 여론과 올바른 정책의 형성에 기여하게 되기 기대한다.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거 후 한국경제 (0) | 2001.03.04 |
---|---|
벤처열풍 유감 (0) | 2001.03.04 |
Strangled by Red Tape (0) | 2001.03.04 |
민주주의역사에 대하여 저지르는 잘못 (0) | 2001.03.04 |
정보화와 소득격차 (0) | 2001.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