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설지공/경제경영

국제 경제 동향 및 전망

미국



INTRAFIRM TRADE의 발달과 무역수지

World Bank 등 최근 국제무역의 흐름에 관한 각종 연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70년대말 금융자유화에 힘입어 해외직접투자가 급증하고(특히, 80년대 중반 이후) 이에 따라 다국적기업을 중심으로 한 기업내 무역(IFT: Intrafirm Trade)이 발달됨에 따라 90년 들어 미국, 일본 등 주요선진국의 무역량중 IFT가 차지하는 비중이 7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기술 및 R&D 집약산업에서의 교역은 미·일·EU를 중심으로 집중이 가속화될 것으로 분석된다.

미 상무부 자료에 기초한 UNCTAD 연구에 따르면, 광산, 유통 등을 포함한 전 산업의 경우 1983-93 기간중 미국의 총수출중 모기업에서 IFT가 차지하는 비중이 33.8%에서 44.4%로, 수입도 37.9%에서 48.6%가 각각 증가하였으며, 자회사(Filiate)의 경우 총 수출중 IFT가 차지하는 비율이 70.3%에서 74.2%, 수입은 83.4%에서 82.5%로 감소하였으나 높은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이를 제조업에 국한할 경우 IFT가 전체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훨씬 높은 비중을 나타내고 있다. 아울러, 다국적 기업의 자회사가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77년 30%에서 93년 44%로 증가하였으며, 자회사간 교역도 77년 37%에서 93년 60%로 증가하여 IFT가 국제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사실, 다국적 기업의 자회사가 일반적으로 현지기업에 비해 기술집약적이고 생산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기업경영 방식 등을 갖추고 있어 자회사 유치국가에 기술 및 통상면에서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은 사실이며, 실례로 해외투자 유치가 다소 활발한 동남아 일부 국가, 체코, 멕시코의 경우 자회사는 기술이전, 국내시장 확충, 고용창출 등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다.

이와관련, OECD 등은 기술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동남아 국가가 컴퓨터, 전자 등 부문에서 급속한 성장을 시현하고 동 부문에서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과의 교역이 활발하게 된 요인은 다국적 기업의 자회사에 근거한 것으로 분석한다.

그러나, Dosi 등 산업 경제학자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이 기술집약 산업에서 하이테크기술의 경우에는 라이센스 형태에 의한 이전을 기피하고 자국내 보유 및 고기술 집약상품도 자국내 생산하는 경향이 강할 뿐만 아니라 표준화된 기술집약 중간재의 경우에도 IFT를 통하여 기술 등을 통제하려는 전략적 정책 때문에 IFT 및 투자 등을 통해서는 표준화된 기술이상의 이전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분석한다.

따라서 해외직접 투자발달이 늦고 기업간 전략적 제휴의 활동이 미미하지만 자체내 기술개발을 통하여 하이테크기술 산업으로 구조 조정중인 국가에게 IFT의 발달은 교역 및 기술이전 면에서 부정적 요인을 가져올 것으로 분석된다.(추가정보번호 2)


소매업계 판매동향

의류업계 전반에 걸친 불황에도 불구하고, 바나나 리퍼블릭, 올드 네이비 체인, 갭 키드를 소유하고 있는 갭사의 판매량은 6% 증가했다. 할인 소매업자인 로스 스토어사는 판매량이 11%나 증가했다. 살로몬 브라더스사가 22개 소매업체를 상대로 평가한 결과, 9월의판매량은 2.3% 증가했다. 이러한 증가율은 올 8월의 5.5% 증가율과 작년 9월의 3.7%에 비해 낮은 수치이다.

한편 골드맨 삭스사의 45개 소매업체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9월의 판매량은 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8월의 5.7% 증가율과 작년 9월의 1.9% 비해서 낮은 수치이다.

9월중 강세를 보였던 의류업체는 할인소매업과 사치품 소매업자이다. 월-마트는 미국에서 가장 큰 소매업체로서 9월중 판매량이 4.3%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제네럴사가 할인 연쇄점 업계에서는 9.9%의 성장률을 기록함으로써 가장 큰 성장을 보였다.

(추가정보번호 3)


수산식품 선호동향

미 수산연구소는 매년 미국인들의 수산식품 소비량을 조사하여 상위 10개 품목을 발표해 오고 있는데, 이 조사에 따르면 1996년도에 10대 기호수산식품 순위 및 1인당 소비량(파운드)은 참치통조림(3.2), 새우(2.5), 알라스카산 명태(1.62), 연어(1.944), 대구(0.918), 메기(0.899), 조개(0.518), 넙치(0.384), 게(0.333), 가리비(0.269)순이다.

3대 수산기호식품의 5년전 소비량을 비교해 보면 참치통조림이 0.2파운드, 알라스카산 명태가 0.1파운드 증가하였고 새우 소비량은 변화가 없었다.

1995년도와 비교하여 소비가 증가된 품목 및 증가량(파운드)은 명태(0.1), 연어(0.256), 메기(0.035), 넙치(0.082), 게(0.014), 가리비(0.025)이다. 연어의 소비가 증가한 것은 자연산 뿐 아니라 양식이 증가한 때문이고, 알라스카산 명태는 게맛살 및 어묵 형태의 소비가 증가한 때문으로 분석된다.

(추가정보번호 4)


캐나다

도요타자동차 캐나다법인, 시장점유 증가위해 사업확장

1997년 이미 자동차판매에서 큰 성장을 거두고 있는 도요타(Toyoda)자동차 캐나다 법인은, 모회사의 세계시장공략을 위한 전략에 따라 앞으로 3년간 시장점유율을 10%로 증가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토요다 캐나다 법인의 사장인 Yoshio Nakatani는 금년에 자동차, 트럭, 미니밴 등 총 10만대를 판매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는데 이 수치는 캐나다 자동차시장의 7.5%에 해당한다. 그는 이 판매목표를 2000년까지 13만대 또는 15만대로 향상시킨다는 계획을 세웠는데 이는 지난 해 성장률인 5.8%의 두배에 이르는 성장을 한다는 것을 뜻한다.

토요다 자동차 캐나다 법인은 올해 50% 정도의 판매성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미국 3대 자동차 회사의 캐나다 현지 법인들과의 경쟁에서 승리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또한 이는 북미 시장에서 성능을 인정받은 캠리의 최고 판매성장의 덕분이기도 하다. Nakatani 사장은 자동차 판매업자들에게 토요다의 판매전략과 현재의 성장세가 일본식 표현으로 ‘일회성 돌풍으로 그쳐서는 안되며 자동차시장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태풍과 같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토요다 자동차의 캐나다 전략에는 토요다 자동차 캐나다 법인의 현지 조립공장인 Toyota Motor Manufacturing Canada Inc.의 생산능력을 향상시키는 것도 포함되어 있는데 내년까지 10억 달러의 투자가 마무리되면 생산능력이 현재의 두 배에 해당하는 연간 20만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역학]국제무역론  (0) 2001.02.23
[경제학]국제경제학 강의  (0) 2001.02.23
영국 통신산업의 민영화 사례  (0) 2001.02.23
[통계노트]의학연구 방법론  (0) 2001.02.23
[통계노트]선형로직모형  (0) 2001.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