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학파는 미국에서 생성된 학파중에서는 가장 잘 알려진 학파이다.엄격한 의미에서 '시카고 학파(Chicago School)'란 지난 세기의 시카고 대학 경제학부의 멤버들을 일컫지만,일반적으로는 경제학의 지나친 수리적 접근 및 정형화에 반대를 하고,성과위주의 부분균형분석(partial equilibrium analysis)을 위해 너무 조심스런 일반 균형의 가정화(general equilibrium raesoning)를 기꺼이 포기할 준비가 되어있는 자유주의(libertarianism),자유시장(free market)의 가격이론(Neoclassical price theory)을 고수하는 부류를 일컫게 된다.
그러나 최근의 시카고 학파는 경제학적 가정화를, 전통적으로 정치학,사회학,법률학등의 분야로 간주되어 왔던 분야에 적용시키려 한다는 점에서 "경제학 제국주의"를 연상 시키게 한다.
시카고 학파는 역사를 거듭하며 다양한 모습을 보여왔다.그럼에도 불구하고,중심적 구성요소는 언제나 독창적이었으며,어느 시대건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시카고 학파의 우산 조직하에 파생된 학파들로 1960년대의 통화주의(monetarism),1970년대 부터 현재에 이르는 New Classical/Real Business Cycle macroeconomics,그리고 더 최근의 신제도주의(New Institutionalism),신경제사(new economic history)운동,법경제학(Law-and-Economics)운동등이 있다.
초기의 시카고인들(1892-1920년대)
James Laurence Laughlin, 1850-1933
Thorstein Veblen, 1857-1929
John Maurice Clark, 1884-1963
Wesley C. Mitchell, 1874-1948
Simeon L. Leland
John U. Nef, 1899-
최초의 시카고 학파(1920-1945)
Frank H. Knight,1885-1972.
Jacob Viner, 1892-1970.
Henry C. Schultz, 1893-1938.
Paul H. Douglas, 1892-1976.
Oskar Lange, 1904-1965.
Henry C. Simons, 1899-1946
Lloyd W. Mints, 1888-?
전후의 시카고 학파(1945-1960)
Theodore O. Yntema
Jacob L. Mosak
Jacob Marschak Tjalling Koopmans and the Cowles Commission
Lloyd A. Metzler, 1913-1980
Don Patinkin, 1922-1995.
Bert F. Hoselitz, 1913-
H. Gregg Lewis, 1914-1992.
Theodore W. Schultz, 1902-
D. Gale Johnson, 1916-
William H. Nicholls
제2의 시카고 학파(1960s-1970s)
Milton Friedman, 1912-
George J. Stigler, 1911-1991.
Ronald H. Coase, 1910-
Lester G. Telser, 1931-
Arnold C. Harberger, 1924-
Harry G. Johnson, 1923-1979
Gary S. Becker, 1930-
Sherwin Rosen, 1938-
제3의 시카고 학파(1970s-Today)
Milton Friedman and Chicago Monetarism
James M. Buchanan and the Public Choice Economics
Robert E. Lucas and New Classical Macroconomics
Ronald H. Coase and New Institutionalist Economics
Robert Fogel and New Economic History
Gary S. Becker and the New Social Economics
Richard Posner and Law-and-Economics Movement
백과사전적 정의:두산 백과 사전
미국의 시카고대학교를 중심으로 하는 일단의 경제학자들을 일컫는 말.
미국학파·신자유주의학파라고도 한다. J.바이너, H.D.사이몬스, F.A.하이에크, F.H.나이트, M.프리드먼, G.J.스티글러 등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특히 프리드먼은 1956년 이래 정력적으로 신화폐수량설(new monetarism)을 제창함으로써 시카고학파의 이론이 세계적으로 주목을 끌게 한 주도적 인물이다.
시카고학파의 기본적인 주장은 시장경제기구에 의한 자원배분에 신념을 가지고 합리적인 경제운영을 도모하며,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하여는 자유로운 가격기능을 부활시켜야 한다는 점에 있다. 시카고학파는 케인스경제학의 입장을 계승한 신경제학(new economics)에 대립하여 생산·고용·가격 등의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통화공급량을 중시하며, 정부의 활동보다는 민간의 자유로운 행동을 중시한다. 이같은 시카고학파의 주장은 미국의 닉슨 행정부에 의하여 처음으로 경제정책에 반영되어 ‘니크소노믹스’를 탄생시켰듯이 레이건 정권에 의한 ‘레이거노믹스’의 온상이 되는 등, 근래에 와서 실제면에의 영향력을 더해 가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시카고 학파는 경제학적 가정화를, 전통적으로 정치학,사회학,법률학등의 분야로 간주되어 왔던 분야에 적용시키려 한다는 점에서 "경제학 제국주의"를 연상 시키게 한다.
시카고 학파는 역사를 거듭하며 다양한 모습을 보여왔다.그럼에도 불구하고,중심적 구성요소는 언제나 독창적이었으며,어느 시대건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시카고 학파의 우산 조직하에 파생된 학파들로 1960년대의 통화주의(monetarism),1970년대 부터 현재에 이르는 New Classical/Real Business Cycle macroeconomics,그리고 더 최근의 신제도주의(New Institutionalism),신경제사(new economic history)운동,법경제학(Law-and-Economics)운동등이 있다.
초기의 시카고인들(1892-1920년대)
James Laurence Laughlin, 1850-1933
Thorstein Veblen, 1857-1929
John Maurice Clark, 1884-1963
Wesley C. Mitchell, 1874-1948
Simeon L. Leland
John U. Nef, 1899-
최초의 시카고 학파(1920-1945)
Frank H. Knight,1885-1972.
Jacob Viner, 1892-1970.
Henry C. Schultz, 1893-1938.
Paul H. Douglas, 1892-1976.
Oskar Lange, 1904-1965.
Henry C. Simons, 1899-1946
Lloyd W. Mints, 1888-?
전후의 시카고 학파(1945-1960)
Theodore O. Yntema
Jacob L. Mosak
Jacob Marschak Tjalling Koopmans and the Cowles Commission
Lloyd A. Metzler, 1913-1980
Don Patinkin, 1922-1995.
Bert F. Hoselitz, 1913-
H. Gregg Lewis, 1914-1992.
Theodore W. Schultz, 1902-
D. Gale Johnson, 1916-
William H. Nicholls
제2의 시카고 학파(1960s-1970s)
Milton Friedman, 1912-
George J. Stigler, 1911-1991.
Ronald H. Coase, 1910-
Lester G. Telser, 1931-
Arnold C. Harberger, 1924-
Harry G. Johnson, 1923-1979
Gary S. Becker, 1930-
Sherwin Rosen, 1938-
제3의 시카고 학파(1970s-Today)
Milton Friedman and Chicago Monetarism
James M. Buchanan and the Public Choice Economics
Robert E. Lucas and New Classical Macroconomics
Ronald H. Coase and New Institutionalist Economics
Robert Fogel and New Economic History
Gary S. Becker and the New Social Economics
Richard Posner and Law-and-Economics Movement
백과사전적 정의:두산 백과 사전
미국의 시카고대학교를 중심으로 하는 일단의 경제학자들을 일컫는 말.
미국학파·신자유주의학파라고도 한다. J.바이너, H.D.사이몬스, F.A.하이에크, F.H.나이트, M.프리드먼, G.J.스티글러 등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특히 프리드먼은 1956년 이래 정력적으로 신화폐수량설(new monetarism)을 제창함으로써 시카고학파의 이론이 세계적으로 주목을 끌게 한 주도적 인물이다.
시카고학파의 기본적인 주장은 시장경제기구에 의한 자원배분에 신념을 가지고 합리적인 경제운영을 도모하며,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하여는 자유로운 가격기능을 부활시켜야 한다는 점에 있다. 시카고학파는 케인스경제학의 입장을 계승한 신경제학(new economics)에 대립하여 생산·고용·가격 등의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통화공급량을 중시하며, 정부의 활동보다는 민간의 자유로운 행동을 중시한다. 이같은 시카고학파의 주장은 미국의 닉슨 행정부에 의하여 처음으로 경제정책에 반영되어 ‘니크소노믹스’를 탄생시켰듯이 레이건 정권에 의한 ‘레이거노믹스’의 온상이 되는 등, 근래에 와서 실제면에의 영향력을 더해 가고 있다.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파]합리적 기대형성학파 (0) | 2003.10.23 |
---|---|
[경제학파]반케인즈 학파 (0) | 2003.10.23 |
수험용 경제학 서브노트 (0) | 2003.10.23 |
수학책으로 결코 배울수 없는경제학적 수학도구 (0) | 2003.10.23 |
경제학 핵심정리 (0) | 2003.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