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디지털 컨버전스에 따른 제품 및 서비스의 창조와 고도화는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직접적인 원동력이 될 뿐만 아니라 우리 산업의 국제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 정부의 지속적인 수요창출 유도 노력이 필요할 것임.
*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시책
1. 수요진작책
1) IT 특구 지원
- 우리나라의 시장규모는 미국, 일본 등에 비해 뒤지며, 제반 여건상 전 부문에 걸
쳐 디지털 제품 및 기술분야를 주도하는데 제약이 있음.
- 따라서 질적으로 선진국을 능가할 정도의 IT 환경, IT 라이프스타일을 갖춘 특정
지역을 우선적으로 육성하는 정책 지원이 필요함.
2) 전자행정 시스템 진화
- 네트워크를 활용한 전자행정 시스템의 다양화 및 강화가 필요함.
- 기존 업무의 대체 차원을 넘어서 broadband 컨텐츠 서비스 등 새로운
대민서비스를 모색
- 디지털 TV 등을 활용한 지역정보, 오락컨텐츠, 공공레저시설 예약 등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
3) 디지털 TV IMT 2000
- 디지털TV 지상파 방송 도입에 있어서 수신방식 및 도입일정을 차질없이 진행,
소비자들의 디지털 수요를 촉진시킴.
- IMT2000 서비스의 순조로운 도입 역시 마찬가지로 디지털 통신기기 수요가
급신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임.
2. 공급자 유인책
1) 개방적 비즈니스 환경
- 사회시스템이나 복지서비스 등 공공분야를 포함한 새로운 서비스의 개척을
유도하는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비즈니스 환경의 강화가 필요함.
2) 기술적 잠재력 강화
- 디지털컨버전스 관련 국가적인 기술수준 및 제품개발 능력을 강화
- 이를 위해 공공 기술연구소, 교육기관의 역량강화가 필요함.
- 국가 차원의 디지털 관련 기술표준 정책 강화
3) 컨텐츠 산업 육성 및 보호
- 디지털 컨버전스의 주요 축으로 등장하는 컨텐츠 산업을 육성하고 보호할
수 있는 제도 및 장치 마련
- 컨텐츠 관련 저작권의 보호
-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자금 및 기술지원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이 자료는 아크로벳리더가 있어야 읽기가 가능합니다.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의 주내용 (0) | 2003.07.27 |
---|---|
경제동향브리프 (0) | 2003.07.27 |
디지털경제는 존재하는가 (0) | 2003.07.25 |
디지털경제를 둘러싼 정치경제학적 논쟁 (0) | 2003.07.25 |
디지털 경제 (0) | 2003.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