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설지공/경제경영

1985년 저축과 금융시장에 관한 연구 / 프랑코 모딜리아니

1985년 저축과 금융시장에 관한 연구 / 프랑코 모딜리아니

모딜리아니와 한국경제

 

모딜리아니는 전후 최고의 케인지언 경제학자중의 한 사람이다. 그의 경제학은 일관되게 총수요관리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주요 정책수단으로서 재정정책을 지지하였다. 또한 라이프사이클가설로 지칭되는 소비이론을 발전시킴으로써 거시경제학의 미시경제학적 기초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재무이론에 관한 그의 정리는 자본시장을 이해할 수 있는 유효적절한 분석도구이며 규범적인 의의를 지니는 탁월한 업적이다.

그의 연구에는 이론적 분야만이 아니라 실증적인 분야에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20세기를 장식했던 대경제학자들과 마찬가지로 많은 시사점을 주는 인물임에 틀립없다.

오늘날 한국경제의 문제를 생각해 볼 때 모닐리아니가 제시한 케인즈적 결론은 이미 교과서적인 상식이 되었지만 아직도 그의 업적이 충분히 응용되고 있는가에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특히 그가 집중적으로 연구했던 소비이론의 분야가 그러하다.

어떤 의미에서는 소비이론이 경제학의 한 분야에 불과할 수도 있지만, 모딜리아니의 소비이론은 그의 거시경제학체계 전체의 중요한 구비성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그의 케인즈적 결론을 지탱하는 기초였다. 따라서 그의 소비이론 없이 거시경제학적 결론을 간단히 이끌어 낸다는 것은 오히려 어처구니없는 일 일인도 모른다.

그가 밀러와 공동으로 연구했던 모딜리아니-밀러정리도 자본시장과 기업의 행위를 올바른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분석도구였다. 이러한 그의 연구는 국민경제에서 자본시장의 원리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었으며 종합적으로 거시적인 문제를 접근할 수 있는 올바른 방법이기도 했다.

이제 거시경제적 구조의 개혁을 목표로 하고 있는 90년대 한국경제는 모딜리아니의 연구로부터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으리라고 본다. 개별시장의 분석을 통해 국민경제전체의 이해, 미시경제적 접근과 거시경제젝 접근의 종합이 모딜리아니의 경제학이 주는 가장 중요한 교훈이다.

예를 들어 각종 조세정책의 시행은 올바른 소비행위 분석에 기초할 때 적절한 효과가 파악될 수 있다. 또한 금융자유화와 같은 정책적 과세도 금융시장에 관한 올바른 연구에 입각할 때만 그것의 거시 경제적 평가가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 소비함수의 연구, 혹은 개별시장으로서의 금융시장에 대한 세밀한 연구를 추진하는 것이야말로 한국경제의 거시경제학적 이해를 올바르게 진행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이러한 접근방법을 모딜리아니로부터 배울 수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