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스 곡선이론은 무용지물인가.
미국 경제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앨런 그린스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1일 필립스 곡선의 타당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필립스곡선은 실업률이 일정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임금이 오름을 보여준다. 즉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은 반비례의 관계라는 설명이다.
그린스펀 의장은 이날 짐 색스턴 상.하원 합동 경제위원회 부위원장에게 보낸서한을 통해 "물가상승률의 변화와 실업률을 연관짓는 단순화된 경험법칙에 대해서는 아주 회의적인 입장"이라면서 "지금의 경제는 필립스 곡선으로 대표되는 단순한 관계로 축소하기에는 너무나 복잡하다"고 지적했다.
그린스펀 의장은 또 경제 향방과 인플레, 통화정책 등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어떤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로 회사채 수익률을 면밀히 관찰해왔으며 원자재 가격과 환율도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단기 재무부 채권 수익률이 경제 전망에 대해 시사하는 바를 파악하기 위해 FRB가 계속 연구 중이라고 덧붙였다. 일반적으로 장기 채권수익률이 단기채권에 비해 높으나 최근 역전된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의 인플레 우려로 장.단기 채권 수익률이 역전된 것으로 분석한 반면 그린스펀 의장은 정부 방침에 따라 재무부 장기채권 공급이 줄어들 것이란 기대 때문에 역전이 발생한 것으로 설명했다.
그린스펀 의장이 제기한 필립스 곡선에 대한 의문은 저실업-저인플레가 유지되면서 미 경제가 장기호황을 구가함에 따라 이미 제기됐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분명한 해답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민자, 대학생, 주부등 상대적으로 값싼 노동력 유입과 스톡옵션 등 과거와 다른 임금체계가 저실업과 저임금구조를 유지하고 있다는 추론이 가능할 뿐이다.
미국 경제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앨런 그린스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1일 필립스 곡선의 타당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필립스곡선은 실업률이 일정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임금이 오름을 보여준다. 즉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은 반비례의 관계라는 설명이다.
그린스펀 의장은 이날 짐 색스턴 상.하원 합동 경제위원회 부위원장에게 보낸서한을 통해 "물가상승률의 변화와 실업률을 연관짓는 단순화된 경험법칙에 대해서는 아주 회의적인 입장"이라면서 "지금의 경제는 필립스 곡선으로 대표되는 단순한 관계로 축소하기에는 너무나 복잡하다"고 지적했다.
그린스펀 의장은 또 경제 향방과 인플레, 통화정책 등에 대한 시장의 기대가 어떤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로 회사채 수익률을 면밀히 관찰해왔으며 원자재 가격과 환율도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단기 재무부 채권 수익률이 경제 전망에 대해 시사하는 바를 파악하기 위해 FRB가 계속 연구 중이라고 덧붙였다. 일반적으로 장기 채권수익률이 단기채권에 비해 높으나 최근 역전된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의 인플레 우려로 장.단기 채권 수익률이 역전된 것으로 분석한 반면 그린스펀 의장은 정부 방침에 따라 재무부 장기채권 공급이 줄어들 것이란 기대 때문에 역전이 발생한 것으로 설명했다.
그린스펀 의장이 제기한 필립스 곡선에 대한 의문은 저실업-저인플레가 유지되면서 미 경제가 장기호황을 구가함에 따라 이미 제기됐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분명한 해답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민자, 대학생, 주부등 상대적으로 값싼 노동력 유입과 스톡옵션 등 과거와 다른 임금체계가 저실업과 저임금구조를 유지하고 있다는 추론이 가능할 뿐이다.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ictions in cyberspace (0) | 2001.01.26 |
---|---|
유전자변형식품과 독점자본 (0) | 2001.01.26 |
출근 못하는 은행장 (0) | 2001.01.26 |
코스닥 열풍의 이면 .. (0) | 2001.01.26 |
IMF 총재직과 패권주의 (0) | 2001.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