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설지공/경제경영

[거시경제학]화폐 수요이론

자료 다운로드 : 화폐이론.hwp

화폐의 기능

- 본원적 기능 ~ 교환의 매개(medium of exchange)과 가치저장(store of value)

- 파생적 기능~ 계산의 단위(unit of account), 연지불(deffered payment)의 수단

화폐의 역할
-
고전학파에서는 실물부문과 화폐부문에 대한 이분법에 따라, 화폐는 실물에 아무 영향 미치지 않는 베일(veil)에 불과하다고 하였는데, 이는 화폐의 교환기능에 초점을 둔 것

- 케인즈는 화폐가 불확실한 미래와 현재를 연결시키는 고리로서 화폐의 가치저장기능을 강조함. 이에 따라, 화폐부문의 수요와 공급은 물가와 이자율을 통해 실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부각

화폐의 정의

-  금융자산은 현금, 요구불예금, 저축성예금, 증권, 채권 등의 매우 다양한 형태를 취함. 따라서 어느 범위까지를 화폐로 파악해야 적절한가?

- 교환수단을 중시한 것으로 '좁은 의미의 통화'  M1 = 현금 + 금융기관의 요구불예금

- 가치저장의 가기능을 중시한 정의로서 '총통화'  M2 = M1 + 금융기관의 저축성예금

- 이외에도, 총유동성 M3가 있고, 또한 M2에서 장기 저축성예금을 뺀 M2A, 그리고 M2A에다 CD를 포함시킨 M2B 등이 있다.

- 1978년까진 M1이 중심통화지표였으나, 이후 M2가 중심통화지표로서 통화정책에 이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