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MP란 | |
| PMP(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의 약자로 "프로젝트관리 전문가"라고 번역 |
| 역사 | |
| 1984년부터 미국의 PMI가 시행하는 자격인증 제도. 2006년 1월 기준 국내 약 5,500명 정도로 매년 급증하는 추세 |
| 목적 | |
| 프로젝트관리의 전문성을 배양하고 프로젝트관리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체계적인 PM기법을 갖추도록 하는 목적 |
| 국내 도입 | |
| 1995년 6월부터 한국프로젝트관리기술회(PROMAT)가 도입. 2001년부터 CBT(Computer Based Testing) 방식으로 전환 |
| 응시자격 | |
| 1) Category 1- 학사 학위 이상 신청일로부터 최소 3년 이상 최대 6년이 경과하지 않은 기간 내 최소 4,500시간(36개월) 이상의 PM 실무 경력자 | |
| 2) Category2- 전문대졸 및 고졸 이하 신청일로부터 최소 5년 이상 최대 8년이 경과하지 않은 기간 내 최소 7,500시간(60개월) 이상의 PM 실무 경력자 | |
| 3) 공통 필수 요건 35시간 이상의 PM 교육 이수(누적 합산 가능). |
| 응시료 | |
| 1) 첫응시 PMI 개인회원 US $405 / 비회원 US $555 PMI 회원가입비: US $119 (회원 가입 신청비 $10별도) * 회원가입후 시험신청 - US $524 2) 재응시 불합격한 날짜로부터 1년 이내에 응시 PMI 회원 US$275 / 비회원 US$375 |
| 시험개요 및 합격기준 | |
| 1) 시험개요 문제 개수: 4지선다형 객관식 175문항 (단, Random Pretest 25 문항 별도) 시험시간: 4시간 시험방식: CBT 2개국어 동시 선택(영문, 한글) 합격여부: 시험 종료시 바로 화면에 표시됨(Pass!) | |
| 2) 합격기준 : 106문항 이상 (절대 평가) |
| 출제비율 | |
| Initiating - 11% Planning - 23% Executing - 27% Monitoring & Controlling - 21% Closing - 9% Professional Responsibility - 9% |
| 자격 유예 | |
| 현재 주기 내에 취득한 것이 60 PDU를 초과할 경우, 초과된 PDU(20 PDU까지만 허용)는 다음 CCR주기로 넘길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