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 경제 이해력 테스트 조사 결과
게시일: 2003-02-20
자료출처 : KDI
주요 조사결과 요약
□ 고등학생들의 경제 이해력 수준은 다소 낮은 55.7점으로 나타나
조사대상 고교생들의 경제 이해력은 100점 만점에 평균 55.7점인 것으로 조사되어 경제 이해력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남.
- 실업계 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43.9로 일반계 학생들(평균 57.4점)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사회에 일찍 진출하는 실업계 고교생들의 경제 이해력 수준 향상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됨.
- 2, 3학년생들을 대상으로 경제과목 수강여부에 따른 경제 이해력 수준을 비교해본 결과, 수강한 학생(평균 57.8점)과 수강하지 않은 학생(평균 56.6점)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음.
□ 글로벌 경제시대에 필요한 국제경제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낮아
경제 이해력을 분야별로 비교해 볼 때, 기초적 경제개념에 대한 이해력은 60.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국제경제관련 개념은 46.8점으로 가장 낮았으며, 다른 분야에 비해 점수차도 크게 벌어져 있어 국제경제관련 이해력이 가장 문제시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 경제이론에 대한 응용력이 떨어져 실제 경제생활에 도움 안돼
인식수준별 이해수준 비교에서 응용력은 52.2점으로, 경제이론에 대한 이해력(60.2점)과 경제지식(59.3점)에 비해 상당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 고등학생들은 언론매체를 통해 경제정보나 지식을 획득해
고등학생들은 경제정보나 경제지식을 TV·라디오 등 방송매체를 통해 얻는 경우가 47.0%였고, 신문이나 잡지를 통해 얻는 경우가 23.5%로 나타나, 교과서나 참고서(10.8%)보다는 주로 언론매체를 통해 획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자료와 관련된 한국경제신문의 기사........................................
'고교생 경제지식 - 낙제'
고교생들의 경제에 대한 이해력 수준이 55.7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정보센터는 전국 25개 고등학교 재학생 2천6백58명을 대상으로 경제지식 이해도를 측정한 결과, 평균 점수가 1백점 만점에 55.7점에 불과했다고 20일 발표했다.
40점에 못미치는 학생들이 전체의 19.2%에 달한 반면 80점 이상을 받은 학생은 8.1%(2백14명)에 불과했다.
한국경제신문이 삼성경제연구소와 공동으로 실시한 설문조사(한경 1월6일자 참조)에서 한국 청소년들의 경제의식이 극히 왜곡돼 있다는 사실이 드러난데 이어 기초적인 경제지식마저 낙제점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옴에 따라 한국의 경제교육에 본격적인 수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KDI 경제정보센터는 이처럼 부실한 학교 경제교육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사에 대한 재교육 강화 △다양한 보충교재 개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rea (OECD보고서) (0) | 2003.07.29 |
---|---|
고등학생 경제 이해력 테스트 조사 결과(KDI) (0) | 2003.07.29 |
마스터카드·비자카드 220만계좌 해킹(cnn.com) (0) | 2003.07.29 |
마스터카드·비자카드 220만계좌 해킹(cnn.com) (0) | 2003.07.29 |
중국 신지도부의 경제적 과제와 기업의 대응방안 (0) | 2003.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