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카슈랑스 도입, 은행株"웃고" 보험株"울고"
자료출처 : 매일경제
방카슈랑스제도 도입으로 오는 8월부터 은행ㆍ증권사ㆍ상호저축은행ㆍ카드사 등에서 보험상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신규수수료 수익을 올릴 여지가 커지는 은행주가 상대적으로 유리한 입지를 차지할 전망이다.
하지만 보험상품 판매가 완전 허용되는 2007년까지는 판매될 상품이제한돼 은행 수수료 수익도 적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단기적으론큰 이점을 갖지 못할 것이란 진단이다. 보험주는 수익기반이 약해지면서 단기적으로 부정적 효과가 날 가능성이 적지 않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17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8월 방카슈랑스제도가 본격 시행되면 은행주엔 긍정적 효과가 기대되지만 보험주엔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영수 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방카슈랑스제도가 도입되면 은행ㆍ증권ㆍ상호저축은행ㆍ카드사 등이 보험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리한 수익기반을 갖추게 된다"고 진단했다.
물론 보험상품 판매가 완전 허용되는 2007년까지 은행 수수료 수익은제한적이어서 당장 은행주에 큰 이점을 주진 못할 것이란 분석이다.이에 비해 방카슈랑스제도 도입과 함께 은행이 자회사 방식에 의한생보업 진출이 허용되는 만큼 생명보험업종은 부정적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자동차보험과 장기보장성보험 판매가 허용되는 2005년 4월까지는 은행이 손해보험업 진출을 활발하게 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커 손보업체는 단기적으론 타격을 크게 입지 않을 전망이다.
.........................................................................................
방카슈랑스(bancassurance)란?
자료출처 : 재정경제부 경제용어사전
프랑스어로 은행(banque)과 보험(assurance)의 합성어로 은행과 보험사가 상호 제휴와 업무
협력을 통해 종합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금융결합의 형태이다. 종합금융서비스를 통해 은
행은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고 부실채권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종 수수료 수입을 기대할 수 있다.
보험사는 은행의 점포망 이용 및 이를 통한 판매채널을 확보할 수 있다.
방카슈랑스를 처음 시도한 프랑스의 경우 현재 생명보험상품의 절반 이상이 은행을 통해 판매되
고 있으며, 유럽 전체로는 20% 이상, 1999년 [금융서비스현대화법] 제정을 통해 판매제휴 및 은
행의 보험자회사 설립을 허용하였던 미국은 생명보험상품의 13%가 방카슈랑스 형태라는 통계가
있다. 일본은 2001년 4월부터 자회사의 일부 보험상품에 한정하여 판매제휴를 허용하고 있다.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방카슈랑스 도입 초기에는 은행과 보험사의 관계가 단순히 판매제휴를
하는 독립대리점 관계를 유지하였고, 시간이 흐르면서 보험사와 은행이 공동의 고객을 대상으로
한 공동상품 개발 및 판매 등 보험사와 은행간 동등한 종합적인 업무제휴 형태 또는 은행들이 보험
자회사를 설립하여 자회사의 보험상품을 은행창구에서 판매하는 형태로 발전하여 왔다. 방카슈랑
스의 허용 요건은 나라마다 조금씩 상이하나, 일반적으로 은행이 창구에서 보험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보험대리점 또는 보험중개인 자격을 획득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현재 은행창구에서 은행직원들이 보험상품을 판매하는 방카슈랑스를 허용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은행은 보험자회사 설립을 통해 보험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이미 허용되고 있으며,
은행창구에서 보험회사 직원에 의한 보험상품의 판매는 2000년 1월에 허용되었다. 따라서 현재는
은행의 보험대리점업만 금지되어 있는 상황이다.
자료출처 : 매일경제
방카슈랑스제도 도입으로 오는 8월부터 은행ㆍ증권사ㆍ상호저축은행ㆍ카드사 등에서 보험상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신규수수료 수익을 올릴 여지가 커지는 은행주가 상대적으로 유리한 입지를 차지할 전망이다.
하지만 보험상품 판매가 완전 허용되는 2007년까지는 판매될 상품이제한돼 은행 수수료 수익도 적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단기적으론큰 이점을 갖지 못할 것이란 진단이다. 보험주는 수익기반이 약해지면서 단기적으로 부정적 효과가 날 가능성이 적지 않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17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8월 방카슈랑스제도가 본격 시행되면 은행주엔 긍정적 효과가 기대되지만 보험주엔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영수 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방카슈랑스제도가 도입되면 은행ㆍ증권ㆍ상호저축은행ㆍ카드사 등이 보험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리한 수익기반을 갖추게 된다"고 진단했다.
물론 보험상품 판매가 완전 허용되는 2007년까지 은행 수수료 수익은제한적이어서 당장 은행주에 큰 이점을 주진 못할 것이란 분석이다.이에 비해 방카슈랑스제도 도입과 함께 은행이 자회사 방식에 의한생보업 진출이 허용되는 만큼 생명보험업종은 부정적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자동차보험과 장기보장성보험 판매가 허용되는 2005년 4월까지는 은행이 손해보험업 진출을 활발하게 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커 손보업체는 단기적으론 타격을 크게 입지 않을 전망이다.
.........................................................................................
방카슈랑스(bancassurance)란?
자료출처 : 재정경제부 경제용어사전
프랑스어로 은행(banque)과 보험(assurance)의 합성어로 은행과 보험사가 상호 제휴와 업무
협력을 통해 종합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금융결합의 형태이다. 종합금융서비스를 통해 은
행은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고 부실채권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종 수수료 수입을 기대할 수 있다.
보험사는 은행의 점포망 이용 및 이를 통한 판매채널을 확보할 수 있다.
방카슈랑스를 처음 시도한 프랑스의 경우 현재 생명보험상품의 절반 이상이 은행을 통해 판매되
고 있으며, 유럽 전체로는 20% 이상, 1999년 [금융서비스현대화법] 제정을 통해 판매제휴 및 은
행의 보험자회사 설립을 허용하였던 미국은 생명보험상품의 13%가 방카슈랑스 형태라는 통계가
있다. 일본은 2001년 4월부터 자회사의 일부 보험상품에 한정하여 판매제휴를 허용하고 있다.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방카슈랑스 도입 초기에는 은행과 보험사의 관계가 단순히 판매제휴를
하는 독립대리점 관계를 유지하였고, 시간이 흐르면서 보험사와 은행이 공동의 고객을 대상으로
한 공동상품 개발 및 판매 등 보험사와 은행간 동등한 종합적인 업무제휴 형태 또는 은행들이 보험
자회사를 설립하여 자회사의 보험상품을 은행창구에서 판매하는 형태로 발전하여 왔다. 방카슈랑
스의 허용 요건은 나라마다 조금씩 상이하나, 일반적으로 은행이 창구에서 보험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보험대리점 또는 보험중개인 자격을 획득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현재 은행창구에서 은행직원들이 보험상품을 판매하는 방카슈랑스를 허용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은행은 보험자회사 설립을 통해 보험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이미 허용되고 있으며,
은행창구에서 보험회사 직원에 의한 보험상품의 판매는 2000년 1월에 허용되었다. 따라서 현재는
은행의 보험대리점업만 금지되어 있는 상황이다.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후분양제 도입,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0) | 2003.07.29 |
---|---|
북핵ㆍ반미 정서 대한투자 영향 미미, 장기화시 위축우려 (0) | 2003.07.29 |
설 물가와 서민생활안정대책 (0) | 2003.07.29 |
주요기업의 R&D 투자 현황과 과제 (0) | 2003.07.29 |
한국기업의 생존요인 실증분석 : 한국 신생기업은 창업후 3년째가 최대 위기 (0) | 2003.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