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의 주요내용
---------------------------------------------------
<> 주요내용
- '96년중 세계경제 성장률은 미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의 견실한 성장
세, 개도국의 고성장 지속, 체제전환국의 정의 성장 전환 등에 힘입어
전년에 비해 0.3%p 상승한 3.7%에 달할 것으로 보임.
'97년중에는 유럽국가들의 경기호전, 체제전환국의 성장 호조 등으로
4.2%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
1. 경제성장
- 세계경제의 성장률은 '95년중 3.4%에서 '96년 3.7%, '97년에는 4.2%로
상승할 것으로 보임.
o 선진국 : '96년중 유럽국가들의 성장둔화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견실
한 성장세 및 일본의 경기회복에 힘입어 2.1%의 성장을 유
지할 것으로 보이며
'96년 하반기부터는 유럽국가들의 경기호전으로 '97년중에
는 2.5%의 성장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
o 개도국 : 고성장을 지속해 온 아시아국가들의 성장세가 다소 둔화될
것이나 멕시코, 아르헨티나 등 남미국가들의 경기회복, 강
력한 구조조정정책 추진에 따른 아프리카국가의 성장호조
등에 힘입어 '96년중 6.0%, '97년중 6.2%의 견조한 성장세
를 시현할 것으로 전망
o 체제전환국 : 폴란드, 체코, 슬로바크 등을 중심으로 한 중동부유럽
국가들의 성장세 지속, 중앙아시아국가들의 경제호전으
로 그간 부의 성장에서 '96년중 정의 성장(0.4%)으로
전환되고 '97년에는 성장세가 더욱 확대(4.0%)될 것으
로 전망
2. 물가
- '96-'97년중 물가는 안정세를 지속할 전망
o 선진국 : 국제경쟁 심화에 따른 가격안정 및 임금상승 억제, 일부 국
가에서 나타난 디플레이션 갭(deflation gap) 등으로 인하
여 '96-'97년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3% 내외에서 안정될
전망
o 개도국 : 안정적인 재정정책 수행 등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5년
의 20.3%에서 '96년 13.5%, '97년 11.1%로 크게 둔화될 전
망
o 체제전환국 : 경제구조 조정 및 개혁정책의 성공적 추진으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95년의 128.0%에서 '96년 41.3%, '97년
16.8% 로 대폭 개선될 전망
3. 세계교역
- '96-'97년중 세계교역 신장률은 '95년(8.4%)에 비해 다소 낮아질 것으
로 보이나 여전히 6.6-7.1%의 높은 수준을 유지할 전망
o 이는 선진국의 교역신장률이 다소 둔화될 것이나 개도국의 수출입이
'96-'97년중 10-11%의 높은 증가율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는 데 기
인
<참고> 주요 세계경제지표의 추이 및 전망
(단위 : %)
=================================================================
'93 '94 '95 '96p '97p
-----------------------------------------------------------------
경제성장률 2.5 3.7 3.4 3.7 4.2
선진국 1.1 2.8 2.1 2.1 2.5
. 미국 3.1 3.5 2.0 2.3 2.3
. 일본 -0.2 0.5 0.9 3.5 2.7
. 독일 -1.1 2.9 1.9 0.6 2.3
개도국 6.1 6.6 5.8 6.0 6.2
. 아시아 8.7 9.1 8.4 7.7 7.6
체제전환국 -9.1 -8.8 -1.4 0.4 4.0
. 중동부유럽 -6.1 -2.9 1.1 1.6 4.2
. 러시아 및 -12.0 -14.8 -4.1 -0.9 3.8
중앙아시아
소비자물가 상승률
선진국 3.0 2.3 2.4 2.3 2.4
개도국 43.0 48.2 20.3 13.5 11.1
체제전환국 675.2 264.8 128.0 41.3 16.8
교역신장률 3.6 8.8 8.4 6.6 7.1
선진국 수입액 1.4 9.2 7.2 5.2 5.4
개도국 수입액 9.4 8.1 11.5 11.1 10.2
체제전환국 수입액 - 3.7 12.9 10.4 8.1
선진국 수출액 1.4 8.2 6.8 4.3 5.9
개도국 수출액 7.4 11.1 11.5 10.1 10.8
체전전환국 수출액 - 4.9 11.8 8.7 5.7
=================================================================
자료) World Economic Outlook, IMF, 1996.8
==============================================
---------------------------------------------------
<> 주요내용
- '96년중 세계경제 성장률은 미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의 견실한 성장
세, 개도국의 고성장 지속, 체제전환국의 정의 성장 전환 등에 힘입어
전년에 비해 0.3%p 상승한 3.7%에 달할 것으로 보임.
'97년중에는 유럽국가들의 경기호전, 체제전환국의 성장 호조 등으로
4.2%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
1. 경제성장
- 세계경제의 성장률은 '95년중 3.4%에서 '96년 3.7%, '97년에는 4.2%로
상승할 것으로 보임.
o 선진국 : '96년중 유럽국가들의 성장둔화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견실
한 성장세 및 일본의 경기회복에 힘입어 2.1%의 성장을 유
지할 것으로 보이며
'96년 하반기부터는 유럽국가들의 경기호전으로 '97년중에
는 2.5%의 성장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
o 개도국 : 고성장을 지속해 온 아시아국가들의 성장세가 다소 둔화될
것이나 멕시코, 아르헨티나 등 남미국가들의 경기회복, 강
력한 구조조정정책 추진에 따른 아프리카국가의 성장호조
등에 힘입어 '96년중 6.0%, '97년중 6.2%의 견조한 성장세
를 시현할 것으로 전망
o 체제전환국 : 폴란드, 체코, 슬로바크 등을 중심으로 한 중동부유럽
국가들의 성장세 지속, 중앙아시아국가들의 경제호전으
로 그간 부의 성장에서 '96년중 정의 성장(0.4%)으로
전환되고 '97년에는 성장세가 더욱 확대(4.0%)될 것으
로 전망
2. 물가
- '96-'97년중 물가는 안정세를 지속할 전망
o 선진국 : 국제경쟁 심화에 따른 가격안정 및 임금상승 억제, 일부 국
가에서 나타난 디플레이션 갭(deflation gap) 등으로 인하
여 '96-'97년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3% 내외에서 안정될
전망
o 개도국 : 안정적인 재정정책 수행 등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5년
의 20.3%에서 '96년 13.5%, '97년 11.1%로 크게 둔화될 전
망
o 체제전환국 : 경제구조 조정 및 개혁정책의 성공적 추진으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95년의 128.0%에서 '96년 41.3%, '97년
16.8% 로 대폭 개선될 전망
3. 세계교역
- '96-'97년중 세계교역 신장률은 '95년(8.4%)에 비해 다소 낮아질 것으
로 보이나 여전히 6.6-7.1%의 높은 수준을 유지할 전망
o 이는 선진국의 교역신장률이 다소 둔화될 것이나 개도국의 수출입이
'96-'97년중 10-11%의 높은 증가율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는 데 기
인
<참고> 주요 세계경제지표의 추이 및 전망
(단위 : %)
=================================================================
'93 '94 '95 '96p '97p
-----------------------------------------------------------------
경제성장률 2.5 3.7 3.4 3.7 4.2
선진국 1.1 2.8 2.1 2.1 2.5
. 미국 3.1 3.5 2.0 2.3 2.3
. 일본 -0.2 0.5 0.9 3.5 2.7
. 독일 -1.1 2.9 1.9 0.6 2.3
개도국 6.1 6.6 5.8 6.0 6.2
. 아시아 8.7 9.1 8.4 7.7 7.6
체제전환국 -9.1 -8.8 -1.4 0.4 4.0
. 중동부유럽 -6.1 -2.9 1.1 1.6 4.2
. 러시아 및 -12.0 -14.8 -4.1 -0.9 3.8
중앙아시아
소비자물가 상승률
선진국 3.0 2.3 2.4 2.3 2.4
개도국 43.0 48.2 20.3 13.5 11.1
체제전환국 675.2 264.8 128.0 41.3 16.8
교역신장률 3.6 8.8 8.4 6.6 7.1
선진국 수입액 1.4 9.2 7.2 5.2 5.4
개도국 수입액 9.4 8.1 11.5 11.1 10.2
체제전환국 수입액 - 3.7 12.9 10.4 8.1
선진국 수출액 1.4 8.2 6.8 4.3 5.9
개도국 수출액 7.4 11.1 11.5 10.1 10.8
체전전환국 수출액 - 4.9 11.8 8.7 5.7
=================================================================
자료) World Economic Outlook, IMF, 1996.8
==============================================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 발췌 (0) | 2001.01.27 |
---|---|
[경제] 경제학 정리 (0) | 2001.01.27 |
[경제] 김영삼 정부의 경제정책 (0) | 2001.01.27 |
[경제] 경제학 보고서 (0) | 2001.01.27 |
[경제/경영] 경제 경영 관련 자료. (0) | 2001.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