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
資本市場은 흑자경제주체의 貯蓄이 적자경제주체의 長期投資財源으로 직접
연결되는 시장이라는 점에서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자본시장은 통화정책의 파급과정에서 實物部門과 직접적으로
연계된 시장으로서 통화정책의 효과에 적지않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의
자본시장은 市場規模가 대폭 확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하부구조가 정비되고
시장이 개방되는 등 制度的 基盤도 확충됨으로써 비교적 빠른 속도로 발전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본고는 최근의 자본시장 발달이 通貨指標 및
通貨政策의 波及經路 등의 측면에서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주요 분석결과로는 첫째, 주식 채권 등 장기
금융자산과 통화간에 代替性이 높아지면서 통화수요의 불안정성이 증대되고
통화량에 대한 통화당국의 통제력이 약화됨에 따라 旣存 通貨指標의
有用性이 크게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政策的 示唆點이 도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최근 자본시장의 발전을 배경으로 통화유통속도가
크게 불안정해짐에 따라 M2, M3 등 기존 통화지표의 유용성이 저하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때 通貨指標의 改善努力이 매우 긴요하다. 한국은행법
개정 이후 물가안정목표제도를 도입·운용하는 과정에서 있으나 중장기
적인 관점에서 名目基準指標(nominal anchor)로서 通貨量의 역할도
중요한 만큼 실물변수와 보다 긴밀하고도 안정적인 관계를 가지도록
통화지표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둘째, 최근 자본시장의 발전과정에서
통화정책의 파급경로별로 有效性의 크기가 변화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통화정책을 운용함에 있어 특정 파급경로에만 관심을 기울이기보다 各
波及經路에 의한 政策效果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있다. 셋째,
자본시장 개방에 따른 資本移動性 增大로 통화관리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通貨·換率·財政政策을 상호 유기적으로
운용할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책당국
끝으로 최근 들어 우리나라 자본시장이 비교적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 市場의 下部構造가 선진국에 비해 미흡한
상태이므로 채권의 유통시장을 활성화하고 채권의 만기구조를 다양화
하는 등 資本市場의 育成을 위한 정책적 노력은 꾸준히 지속되어야 한다.
'형설지공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99.10]1999년 상반기 자금순환동향과 시사점 (0) | 2001.01.25 |
---|---|
[99.10]외국인 주식투자자금 유출입이 국내 주가에 미치는 영향 (0) | 2001.01.25 |
[99.9]1999년 상반기중 국제수지동향(잠정) (0) | 2001.01.25 |
[99.9]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기관투자가의 역할 (0) | 2001.01.25 |
[99.8]1999년 상반기중 금융기관의 지급결제동향 (0) | 2001.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