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설지공/경제경영

[99.6]최근의 경제동향

자료 다운로드 : 99-6-3.hwp

최근의 경제동향
━━━━━━━━
< 개 황 >


國內經濟는 4월중 製造業 生産이 높은 신장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수출물량이
꾸준히 늘어나고 소비 및 설비투자 관련지표도 계속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빠른
회복세를 지속하였다. 經常收支는 수입이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흑자폭이 전월에
비해 축소되었다. 한편 5월중 消費者物價는 농축수산물 가격의 안정으로 전월
보다 소폭 하락하였다.

製造業 生産은 4월중에도 17.5%의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였으며 지수 수준도
3월에 이어 외환위기 이전을 상회하였다. 製造業 平均稼動率은 74.2%로 3월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製造業 出荷는 내수와 수출 모두 3월에 이어 크게 증가
하였으며 製造業 在庫는 큰 폭의 감소세를 지속하였다. 이와 같은 출하 호조 및
재고 감소를 반영하여 在庫率(재고지수/출하지수)지수는 4월중 78.5로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消費는 4월에도 내구재소비가 큰 폭으로 늘어나고 비내구재소비도 증가세가
확대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높은 신장세를 지속하였다. 設備投資는 4월 들어 기계
류 내수출하, 내수용기계류수입의 증가세가 확대되는 등 회복세가 가속되었으며
建設投資도 주요 동행지표와 선행지표들이 모두 증가로 반전하는 등 그 동안의
부진이 완화되는 조짐을 보였다.

雇傭事情은 전월에 이어 개선되는 움직임을 지속하여 失業者가 155만명으로
줄어들고 실업률도 7.2%로 하락하였다. 한편 名目賃金(전산업)은 4월중 전년동월
대비 7.9% 올라 전월보다 증가세가 확대되었다.

輸出(통관기준)은 5월중 2.2%의 소폭 증가로 반전하였으며 輸入은 증가율이
25.0%로 대폭 확대되었다. 한편 1∼5월중 輸出은 3.8% 감소하였으나 지난해 초의
蒐集金수출분을 제외하면 전년동기와 비슷한 수준이며 輸入은 11.9% 증가하였다.

經常收支는 4월중 흑자가 20억달러로 전월보다 축소되었으며 1∼4월중 흑자
규모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크게 줄어든 88억달러에 머물렀다.

2월 이후 오름세를 지속하던 消費者物價는 5월 들어 채소류의 출하물량 증가
등에 주로 기인하여 전월대비 0.2% 하락으로 전환하였다. 이에 따라 5월 현재
소비자물가는 전년말월대비 0.6%, 전년동월대비 0.8% 오르는 데 그쳤다.

5월중 M2 증가율(평잔기준)은 지난해 5월 이후 단기시장성 수신의 저축성예금
으로의 이동에 따른 M2 증가효과가 일단락된 데 주로 기인하여 전월의 34.5%에서
31.0%로 하락하였으며 MCT(M2+CD+금전신탁) 증가율(평잔기준)도 전월의 7.0%에서
6.7%로 소폭 낮아졌다.

市場金利는 콜金利가 4.75%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다소 불규칙한 변동을 보였
던 國庫債流通收益率도 월말에는 전월과 같은 6.7% 수준을 나타내었으나 會社債
流通收益率이 전월말의 7.7%에서 5월말에는 8.4%로 상승하였다.

월중 金融機關 受信動向을 보면 預金銀行은 단기시장성 수신의 증가에도 불구
하고 정기예금의 감소로 증가폭이 전월보다 축소되었다. 金錢信託은 특정금전
신탁 및 개발신탁으로부터의 계속적인 자금이탈 영향으로 감소하였다. 投資信託
會社의 수신은 장기공사채형 수익증권이 감소로 반전함에 따라 전월보다 증가폭
이 둔화
되었으며 綜合金融會社 수신은 주식관련 금융상품으로의 자금이동 등을 반영하여
어음매출을 중심으로 감소세를 지속하였다.

월중 企業資金 공급은 銀行貸出(신탁대출 포함)이 2월 이후의 증가세를 지속
하였으나 會社債 發行(純)이 전월보다 축소되었으며 CP발행도 전월에 이어 큰 폭
감소세를 지속하였다.

한편 株價는 단기급등에 대한 경계심리, 6월 이후 예상되는 대규모 유상증자
물량에 대한 수급불균형 우려 등으로 중순부터 하락세로 반전함에 따라 5월말에
는 綜合株價指數가 전월말보다 낮아진 736.0을 기록하였다.